한중 경제 동조성 후진타오 시기 0.64서 0.24로 감소
"한중 분업구조 발전 방안 모색해야…산업경쟁력 확보도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집권 후 한중 경제성장 동조성이 약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일 '시진핑 장기집권 가능성과 한중 경제관계 향방'이라는 보고서에서 "한중 경제성장 동조성을 분석하면 후진타오 시기(2003∼2012년) 0.64였으나 시진핑 시기(2013년∼)에는 0.24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한국경제는 높은 대중국 의존도를 보였다.
특히 2000년대 후진타오 시대 중국이 연평균 10.6%씩 성장하는 동안 교역, 인프라·금융협력 등 다양한 부문에서 한중 경제관계가 밀접해졌다.
이 때문에 중국 성장률이 1.0%포인트 하락하면 한국 성장률은 2분기 후 0.38%포인트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3년 시진핑 집권 이후 한국 경제성장 간 동조화가 약화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동조화가 더 약화해 한국경제가 받는 타격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시진핑 정부 들어 중국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빠르게 재편하고 있으나 한국의 대중 직접투자(2017년) 가운데 서비스업 비중은 27.3%에 그친다.
중국의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 중 서비스업 비중인 65.3%에 40%포인트 가까이 낮은 것이다.
시진핑 정부가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를 기회로 삼기 위해선 일대일로에 관여된 지역의 해외수주를 노려야 하지만 아직 한국 해외수주(2010∼2017년) 절반 가까이(49.5%)가 중동에 집중돼 있다.
중국 기업과 경쟁에서도 한국 기업이 점차 뒤처지는 모습이다.
중국 시장 내 한국 자동차 점유율은 2010년 7.5%에서 지난해 4.6%로 급락했다.
중국 내 스마트폰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삼성이 1.7%로 8위 수준이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중국 시장 점유율도 2016년 4.9%로 프랑스, 홍콩, 중국 기업들에 뒤진다.
글로벌 전자상거래에서는 전세계 상위 10대 기업 중 알리바바, 샤오미 등 중국 기업 4개가 포함돼 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하다.
인적·문화콘텐츠 교류에서도 중국과 경쟁에서 뒤떨어질 우려도 나온다.
특히 중국인 소득 수준 향상으로 한국을 찾는 단체 관광객 발길이 뜸해지고 다양한 국가로 떠나는 개별 관광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재진 연구위원은 "부품 등 중간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은 혁신 능력을 키우고 인프라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베트남 등 아세안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추가 협상을 통해 중국 서비스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국내 기업의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