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비행 10주년 특강서 소회…"한국선 행보 바꾸기 어려워"
"정부 로드맵 비판한 적 없다…조국에 기여하고 싶은 마음"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03/AKR201804030804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10년 전 한국인 최초로 우주비행을 했던 이소연(40)씨는 경영학 박사(MBA) 학위를 위해 미국행을 택한 이유에 대해 "평생 (우주 관련) 강연만 하고 살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3일 대전 유성구 인터시티호텔에서 열린 한국마이크로중력학회 2018 학술대회 초청 강연에서 "예순 살 쯤 됐을 때도 똑같은 내용을 반복하며 지내고 있을 것만 같은 두려움이 매우 컸다"며 이렇게 밝혔다.
2008년 4월 우주선 소유스 TMA-12를 타고 우주 국제 정거장(ISS)에 간 이씨는 10여일 동안 머물며 18가지 우주 과학 실험을 했다.
이후 한국에서 각종 특강을 하며 지내다 2012년 소속 기관이었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휴직하고서 미국 유학길을 떠났다.
이씨는 "마치 유행가 하나로 평생 우려먹고 살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다"며 "작은 강연이라도 거절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국에 그대로 있으면서 행보를 바꾸긴 정말 어려웠다"고 털어놨다.
러시아의 저명한 물리학자이자 로켓 공학자인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지만, 누구도 그 요람에 평생 살아선 안 된다'는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그는 그러면서 "외국에서도 일정한 연구 활동 이후 관리자나 경영자의 길을 주로 택한다"며 "우주공학에 대한 이해가 많지 않은 분들과의 다리 역할을 하고 싶어 경영학을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03/AKR20180403080400063_02_i.jpg)
이와 관련한 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씨는 "전 세계 모든 우주인이 자신의 작은 행동 하나가 어린이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명심하고 있다"며 "설사 누가 잘못했든지 어린이들에게 우주인이 누군가와 싸우는 모습을 보여주기 싫었다"고 강조했다.
우주인을 '올림픽에 나가는 지구 전체 대표선수'라고 빗댄 이씨는 제2 우주인 배출 등 앞으로 우리나라 우주 사업에 기여하고 싶다는 뜻도 밝혔다.
이씨는 "(일부 언론과는 달리) 저는 인터뷰에서 단 한 번도 정부 로드맵을 비판한 적 없다"며 "우주인 사업 기획을 기획하고, 우주인을 올려보내고, 이후 국내에서 활동하고 하던 세 시기의 정부가 모두 다르다 보니 방향성이 조금씩 틀어졌다고 생각할 뿐"이라고 힘줘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03/AKR20180403080400063_03_i.jpg)
한국마이크로중력학회는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 이후 발족한 단체다.
마이크로중력은 지상 중력 크기의 1천분의 1∼1만분의 1 정도로 작은 중력을 뜻한다. 관련 연구는 유인 우주개발의 한 분야로 자리 잡았다.
최기혁 한국마이크로중력학회장은 "앞으로 유인 우주개발은 우주환경에서의 산업과 과학활동, 유인 화성탐사 준비 등 두 개의 큰 축으로 움직일 것"이라며 "최신 우주실험 정보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