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료 최대 월 243만7천원…연금 보험료 월 19만8천675원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평범한 직장인은 꿈도 못 꾸는 수십억, 수백억원의 연봉을 받는 대기업 전문경영인(CEO)들과 재벌총수들은 매달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보험료로는 얼마나 낼까?
4일 건강보험공단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이들 그룹 회장과 전문경영인들은 받는 연봉과 비례해서 무한정 많은 보험료를 내진 않는다.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세금과는 달리 사회보험이어서 모두 상한선이 있기 때문이다.
즉, 소득이나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보험료가 끝없이 올라가지 않고, 상한 금액만 낸다.
여기에다 직장가입자이기에 회사와 본인이 각각 절반씩 나눠서 부담한다.
원칙적으로 월 보험료는 소득이나 보수에다 정해진 보험료율을 곱해서 산출하는데, 올해 건강보험료율은 보수월액의 6.24%고,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근로소득'의 9%다.
건강보험의 경우 보수월액 상한액은 7천810만원으로, 2018년 건강보험료율(6.24%)을 적용하면 보험료는 월 487만3천440원(7천810만원×6.24%)이지만, 반반씩 분담 원칙에 따라 직장인과 회사가 각각 월 243만6천720원씩 낸다.
이렇게 보수월액 보험료 상한액을 내는 고소득 직장인은 4천명으로 전체 직장가입자 1천682만명의 0.023%에 해당한다.
다만, 한 회사가 아니라 여러 회사에 동시에 등기임원으로 등록해 일하는 경우는 달라진다.
회사별로 받은 보수월액에 따라 각각의 건강보험료를 내야 한다.
A사, B사 2개 회사에 등기임원으로 있으면서 2개 회사에서 각각 월 보수 7천810만원 이상 받았다면, 1개 회사당 월 243만6천720원씩, 매달 487만3천440원을 본인 부담 건보료로 내야 한다.
특히 회사에서 일해서 번 근로소득 등 월급 이외에 다른 소득이 있다면 별도로 건보료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즉 이자·배당·임대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고, 이를 합친 종합과세소득이 연간 7천200만원(월 600만원)을 넘게 버는 직장인은 보수월액 건보료와는 별도로 소득월액 보험료란 이름으로 월 최대 243만6천720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
이런 월급외 소득이 있어서 별도의 소득월액 보험료를 내는 직장인은 현재 4만6천여명(전체 직장가입자 1천682만명의 0.27%에 해당)에 달한다.
보험료 부과체계가 다소 복잡한 건강보험과는 달리 국민연금은 상대적으로 단순하다.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2010년부터 해마다 7월을 기준으로 조정되는데, 2017년 1월부터 6월까지는 월 434만원이었고,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는 월 449만원이었다.
이런 상한액을 적용해 지난해 고액 연봉자의 국민연금 보험료를 산출하면 대략 월 39만7천350원(441만5천원×9%)이며, 회사와 절반씩 부담원칙에 따라 월 19만8천675원만 본인이 내면 된다.
특히 여러 기업의 등기임원으로 적을 올렸을 경우 건강보험은 직장별로 본인 부담 보험료를 각각 따로 내야 하지만, 국민연금은 각각의 회사에서 받은 월급이 아무리 많더라도 상한액에 따른 절반의 본인 연금보험료(월 19만8천675원)만 부담하면 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5억원 이상 고액 연봉자 현황을 보면, 권오현 삼성전자 회장이 작년에 총 243억8천만원을 받아 전문경영인과 오너 일가 출신 경영인을 통틀어 연봉이 가장 많았다.
김상헌 네이버 전 대표(52억8천700만원), 권영식 넷마블 대표(54억1천500만원)도 50억원 이상을 받았다.
오너 일가 출신 경영자 중에서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상장·비상장 계열사를 합쳐 152억원 이상을 받아 오너 경영인 중 1위를 차지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도 작년에 109억원이 넘는 보수를 챙겨 2위에 올랐다.
한때 오너 경영인 중 연봉 1위였던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작년에 현대차로부터 45억7천900만원, 현대모비스로부터 34억3천만원 등 모두 80억9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sh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