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수요 확대되면 길어질 수도…비메모리 투자확대, 핵심설계 기술개발 필요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한국은행은 D램 주도 호황 국면이 1년여 더 갈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세계 반도체 호황이 끝날 때를 대비해 비메모리 분야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은 8일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에 게재된 '세계 반도체시장의 호황 배경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6년 하반기 시작된 D램 주도 호황 국면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다가 점진적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자율주행차와 로봇 등 AI(인공지능) 산업 관련 수요가 예상보다 크게 확대되면 호황 국면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봤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시장은 4천122억 달러 규모로 1년 새 22% 성장했다.
메모리반도체인 D램(4GB)과 낸드플래시(128GB) 평균 가격이 37.3% 상승했고 매출은 64.3% 증가했다.
세계 반도체시장의 30.1%는 메모리 반도체이고, 이 중 D램이 58.7%를 차지한다. 비메모리 반도체시장은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반도체 호황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며 지속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빅데이터 등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했는데 고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D램 등 공급은 부족하다.
또 주요업체 공정 업그레이드로 일시적으로 생산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설비투자와 공급 간에 시차가 상당한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3개사 과점 구조도 요인이 됐다.
주요 예측기관들은 반도체시장 호황이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수요 둔화와 중국 반도체 생산능력 향상, 주요업체 공급 확대 등이 요인이다.
2019년 이후 선진국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세가 다소 둔화하면 경기변동에 따라가는 D램 수요도 증가세가 낮아진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지난해 D램 수요는 상당 부분 재고확보용으로 보고 있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반도체 부품 국산화에 박차를 가해 올해 하반기 이후 시노킹 테크놀로지, 푸젠진화반도체, 칭화유니그룹 산하 XMC 등이 본격 메모리 반도체를 양산할 예정이다.
공정과 장비기술 부문에서는 기술 격차가 크지만, 공격적인 투자와 고급인력 스카우트 등으로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
또 D램 수퍼호황으로 대거 설비투자를 한 업체들의 생산량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증가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 청주MI15 공장이 올해 하반기, 삼성전자 평택2공장이 내년 상반기 준공된다.
올해도 투자규모가 작년과 비슷한 수준(915억 달러)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과점구조에서 과잉생산이 이뤄질 가능성은 작다고 한은은 판단했다.
한은은 국내 업체들이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투자확대와 핵심설계 기술개발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출과 설비투자에서 비중이 큰 반도체의 호황이 마무리되면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최소화되도록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도체 산업은 지난해 수출의 17.0%, 설비투자(2016년 2분기∼2017년 2분기)의 20.2%를 차지했다. 올해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15조6천억원) 중 4분의 3이 반도체 부문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인적자본보다 생산설비확충 등 물적자본 투자에 크게 의존하는 메모리반도체 분야에 편중돼있다.
한은은 국내 업체들이 호황기 수익을 바탕으로 경기변동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고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erci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