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산둥성 금동불상 조사' 보고서 발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10/AKR20180410143800005_02_i.jpg)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에는 5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4.9㎝ 높이의 자그마한 금동불이 있다. 서울 뚝섬에서 출토된 이 불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 중 제작 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중국 산둥성 보싱(博興)현 룽화사(龍華寺) 터에서 발굴된 불상은 높이가 7.9㎝로 다소 크지만, 뚝섬 불상과 형태가 흡사하다. 룽화사 불상은 십육국시대(304∼439)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단 이 두 불상뿐만이 아니다. 한국의 고대 불상과 중국 산둥성 불교조각 사이에는 유사한 유물이 많다. 불교가 전래한 이후 한반도와 산둥성이 밀접히 교류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16년 9월 산둥박물관, 보싱현 박물관, 타이안(泰安)시 박물관에 있는 금동불을 조사한 결과를 담은 보고서 '중국 산둥성 금동불상 조사'를 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10/AKR20180410143800005_03_i.jpg)
보고서에 담긴 금동불은 모두 25점으로, 불상별로 사진과 간단한 설명, 성분 분석 결과가 수록됐다. 제작 시기는 십육국시대부터 수나라(581∼618)까지이며, 불상 중 11점에는 글자가 남아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산둥박물관과 타이안시 박물관에 있는 북위(386∼534)의 금동광배(光背·빛을 형상화한 불상 뒤쪽의 장식물) 바깥쪽에는 ㄷ자형 돌기가 있다. 이러한 돌기는 부여 관북리에서 출토된 금동광배에도 있다.
아울러 산둥성에서는 본존이 보살인 삼존불이 여러 점 나왔는데, 이러한 도상은 지난해 강원도 양양 진전사지에서 발견된 금동삼존불이나 리움미술관에 있는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과 비슷하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그동안 산둥성 불상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아 연구가 쉽지 않았다"며 "산둥성 불상에 있는 명문은 삼국시대 금동불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고서 출간을 계기로 산둥성 불교미술 특별전을 추진하고 아시아 지역의 다른 박물관과도 교류를 활성화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