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11/AKR20180411076551001_01_i.jpg)
하반기 중 관련법 제정…남원에 2022년 개교 목표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한지훈 기자 = 당정은 11일 의료 공공성 강화와 지역 의료격차 해소를 위해 전북 남원에 국립공공의료대학(원)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4/11/PYH2018041107300001300_P2.jpg)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립공공의료대 설립을 포함한 공공보건의료발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신설되는 국립공공의료대는 폐교하는 서남대 의대 정원(49명)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설립되며,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을 비롯해 전북 지역 공공병원 등 전국 협력병원에서 순환 교육을 실시한다.
학생은 시도별 의료 취약지의 수요와 분과별 부족 인원 등을 고려해 선발하고, 졸업 후에는 각 시도의 지정된 의료기관에서 복무하도록 할 계획이다.
선발 인원수는 국민 여론 수렴이나 의료계와의 협의를 통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교육비를 전액 지원하되 졸업생은 의료 취약 지역이나 필요한 기관에 배치해 9년 이상 의무 복무하도록 할 것"이라며 "의무 복무를 어기면 학비를 반납해도 의사 면허를 주지 않는 등 안전장치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4/11/PYH2018041107360001300_P2.jpg)
당정은 또 지역의 국립대병원과 공공병원을 잇는 공공보건의료 연계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 내 거점의료기관을 지정해 의료 서비스의 질 관리를 담당하도록 할 방침이다.
공공의료 인력 확보를 위해 지역거점 공공병원 의료인력 파견 사업 확대도 검토한다.
당정은 올해 하반기 중 관련 법 제도를 정비해 이르면 2022년 개교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방의 의료 인력과 응급, 외상, 감염, 분만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필수 의료 인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할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수한 교육 환경 속에서 사명감을 갖춘 인력을 양성해 그들이 앞으로 우리나라 의료 공공성을 강화하고 의료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yung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