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전주박물관, 24일부터 특별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23/AKR20180423120951055_02_i.jpg)
(서울·전주=연합뉴스) 박상현 임채두 기자 = 국립전주박물관은 전북 지역에서 1980년대 이후 발굴조사로 나온 가야 유물을 소개하는 특별전 '전북에서 만나는 가야 이야기'를 24일부터 연다.
전북 지역 가야사를 주제로 하는 첫 번째 전시로, 현 정부가 가야사 문화권 조사·정비를 국정과제로 선정한 뒤 조명받고 있는 가야사 발굴과 학술 연구 중 전북 지역 성과를 정리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전북도에서는 1982년 남원 월산리 고분군을 시작으로 지난 3월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된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장수 동촌리 고분군 등지에서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전시에서는 월산리 고분에서 나온 원통모양 그릇 받침과 계수호(鷄首壺·닭머리가 달린 항아리), 유곡리·두락리 고분에서 출토한 청동거울과 금동신발 조각 같은 가야 유물과 공주 무령왕릉 청동거울, 경주 황남대총 청동솥 등 자료 150여 점을 볼 수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23/AKR20180423120951055_03_i.jpg)
전시는 모두 5부로 구성된다.
1부 '전북의 가야, 모습을 드러내다'는 전북에 가야 문화가 자리 잡은 계기와 당시의 위상, 2부 '전북 가야와 그 이웃들'은 5∼6세기 한반도 남부 지역의 정세를 소개한다.
3부 '세력을 형성하다'는 가야 문화를 기반으로 세력을 넓힌 전북 동부지역 옛 가야인 생활상을, 4부 '산과 강을 어우르다'는 백두대간을 넘나들며 이웃과 경쟁하고 협력했던 가야인의 모습을 담았다.
마지막으로 5부 '흔적을 남기다'에서는 6세기 이후 가야가 백제와 신라에 흡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전북지역 가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전라도 정도 1천 년을 기념하는 이번 전시는 8월 26일까지 이어진다. 9월 말부터는 고령 대가야박물관에서 순회전이 열린다.
김승희 국립전주박물관장은 "한반도 고대사가 고구려, 백제, 신라 3국 중심으로 서술돼 가야는 제대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며 "영남과 비교하면 적지만, 전라도에도 가야 유적이 많다는 사실을 알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sh59@yna.co.kr, d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