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혈액사업 발전계획' 발표…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 헌혈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10∼20대 인구가 감소하면서 혈액 부족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정부가 30대 이상 중장년층 헌혈자 비율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보건복지부는 24일 혈액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18∼2022년 혈액수급 전략을 담은 '혈액 사업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우선 혈액수급 안정을 위해 연간 헌혈량 목표관리제도를 도입하고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해 혈액 자급에 필요한 적혈구제제, 혈소판, 혈장 필요량을 관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재 29% 수준인 30대 이상 중장년층 헌혈자 비율을 2022년에는 42%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일본과 프랑스는 30대 이상 헌혈자 비율이 각각 78%, 73%(2015년 기준)다.
2017년 연령별 헌혈자는 16∼19세가 91만4천명(31.2%), 20대가 116만7천명(39.8%)으로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30대는 41만4천명(14.1%), 40대는 30만명(10.2%), 50대는 11만4천명(3.9%), 60세 이상은 2만명(0.7%)이다.
초중고 학생을 위한 혈액원 견학, 헌혈 과학관·홍보관 운영을 확대하고, 헌혈의 필요성이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 연구도 추진한다.
헌혈을 많이 한 사람에게는 빈혈 검사를 통해 철분제를 제공하는 등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하고, 직장인이 쉽게 헌혈할 수 있도록 '헌혈의 집' 근무 시간과 요일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희귀혈액형 등록자의 가족은 정기적으로 헌혈하는 등록 헌혈자로 가입하도록 해 검사비를 지원하고, RH(-) 혈액형 응급환자를 위해 24시간 헌혈·채혈 가능 시스템도 구축한다.
또한, 혈액원과 의료기관이 헌혈부터 수혈까지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해 혈액의 적정 사용을 유도하고, 혈액정보추적률을 2017년 75%에서 2022년에는 99%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종합병원에는 규모에 따라 수혈의 안전성과 적정성을 심의하는 수혈관리위원회를 설치하는 법안 개정을 추진하고, 과도한 수혈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고 혈액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환자 혈액관리 활성화 기준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수혈의료기관은 혈액관리 관련 오류나 수혈 후 이상 증상 등을 감시하는 질병관리본부의 수혈안전감시시스템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제제를 2022년까지 전면 도입하고, 성분 채혈 혈소판 공급은 현재 48%에서 60%로 확대한다. 이런 특수 혈액 제제 공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혈액 수가도 개정된다.
혈소판은 제조 후 72시간이 지나면 수혈 직전 세균 검사를 하도록 하고 수혈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수혈 적정성 평가를 위한 정책 연구도 추진한다.
지역 거점 수혈관리병원을 지정해 지역 내에서 수혈과 관련한 교육과 자문을 하고 표준검사실도 운영할 계획이다.
재난 등 위기 상황에는 정부와 혈액원, 의료기관이 함께 혈액수급 위기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수혈에 부적합해 폐기되는 혈액이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개발에 쓰일 수 있도록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운영하기로 했다.
강도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번 중장기 사업계획이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를 구성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mi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