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훈 교수팀 성과…슈퍼컴퓨터 활용해 분석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26/AKR20180426077400063_02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용훈 EEWS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고품질 탄소섬유 개발에 필요한 구조적 특성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탄소섬유는 매우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기계적·열적 특성이 있다.
초경량 자전거와 골프 클럽에서부터 자동차, 항공우주, 원자력 등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탄소섬유는 전구체 고분자를 방사하고서 안정화·탄화 등 작업을 통해 얻어진다.
현재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이 주 전구체로 사용된다.
김 교수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로 PAN 고분자가 탄소나노튜브 계면(물질끼리 맞닿은 경계면)에서 배열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재현했다.
양자역학 기반 제1 원리 계산과 고전역학 기반 분자 동역학을 이용해 양자·분자 수준에서 현상을 분석하는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을 시행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26/AKR20180426077400063_03_i.jpg)
연구팀에 따르면 PAN 고분자 단위체가 누워있는 형태의 특정 원자구조를 선호하는데, 이때 양전하와 음전하가 균형 있게 이동하는 특성이 발현된다.
이 계면 구조를 최대화하는 게 최적의 대규모 PAN 고분자 정렬을 유도하는 방식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아울러 PAN 고분자 정렬 도가 그래핀 나노 리본과의 계면에서 극대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핀을 이용해 탄소섬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한 셈이다.
김 교수는 "양자역학에 기반을 둔 전산 기법이 첨단 소재·소자 개발을 위한 기본원리를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며 "컴퓨터 성능 발전에 맞물려 전산 모사 연구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기초연구실지원사업·글로벌프론티어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이주호 박사과정이 1 저자로 참여한 연구 성과는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1일 자 속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