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NAPHOTO path='C0A8CA3C0000015C3CEC39E10011E00F_P2.jpeg' id='PCM20170525004164044' title='신용등급 (PG)' caption=' ' />
NICE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 3사 균점 체제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지난해 기업 45곳의 신용등급이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등급 하락업체가 상승업체보다 많은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감독원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17년 신용평가실적(Rating Performance)'을 30일 발표했다.
지난해 신용평가부문 시장점유율은 NICE신용평가(34.0%), 한국기업평가[034950](32.8%), 한국신용평가(32.5%) 순으로 3사의 균점 체제가 이어졌다.
무보증사채 신용등급보유 업체 수는 1천105사(3사 중복 포함)였다.
지난해 무보증사채 발행기업 중 부도업체는 1사(플렉스컴)로 연간부도율은 0.18%였다. 신용평가가 비교적 정확했다는 의미다.
지난해 신용등급이 하락한 업체는 45사였다. 이는 전년 대비 46사(50.5%) 감소한 규모다. 신용등급 상승업체 역시 24사로 전년 대비 22사(47.8%) 줄었다.
금감원은 부정적 등급 전망을 받은 기업이 75사로 긍정적 등급 전망을 받은 기업(49사)보다 많아 앞으로 신용등급 상승업체보다 하락업체가 많은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봤다.
신용등급 안정성 측면에서 AAA~AA등급의 연초 대비 연말 신용등급 유지율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나 A등급은 등급유지율이 지난해 91.0%에서 올해 79.7%로 하락했다.
조선, 해운 등 불황업종의 등급하락 및 등급철회가 증가한 여파다.
부도 시점에 임박한 등급조정 경향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감원은 신용평가감독체계를 지속해서 개선하고 하반기에는 주요 테마를 중심으로 부문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