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미정상 통화 직후 판문점 북미회담 가능성에 "전적으로 가능하다"
靑 "트럼프가 먼저 판문점 언급"…트럼프, 남북회담 성공 보고 고민 중인 듯
판문점 북미회담 성사 시 남북미 3자 연쇄회동 관측…靑 "아무것도 안 정해져"
문 대통령, 북미 충돌지점 '비핵화 방법론' '장소' 관여 모양새…운전자론 탄력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북미정상회담의 판문점 개최 가능성이 급부상하면서 판문점에서의 '한반도 빅뱅' 가능성이 급속도로 고개를 들고 있다.
남북정상회담 성공으로 분단의 상징에서 '평화의 땅'으로의 면모가 부각된 판문점에서 북미 정상이 만나 비핵화 합의에 대한 또 다른 선언을 도출한다면 극적인 효과가 배가되면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향한 동력 역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판문점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이는 종전선언을 위한 남북미 3자 판문점 회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 경우 전 세계 유일하게 남은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은 '평화의 성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여부가 좌우될 '큰 판'의 '빅 플레이어'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담판 내용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장소의 상징성이 이를 추동할 수 있기에 판문점이 더욱 부각되는 흐름이다.
애초 판문점은 북미정상회담 장소 후보지에서 배제되는 분위기였지만 이를 되살리는 과정에 문 대통령이 자리 잡고 있다. 장소를 함구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을 공식 거론한 시점이 문 대통령과 통화한 직후라는 게 그 판단의 주요 근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트위터에 "많은 나라가 회담 장소로 검토되지만, 남북 접경지역인 평화의 집(PEACE HOUSE)·자유의 집(FREEDOM HOUSE)이 제3국보다 더 대표성을 띠고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장소일까"라는 글을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진 나이지리아 대통령과 회담 후 공동회견에서 판문점 개최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전적으로 가능하다"며 "일이 잘 해결되면 제3국이 아닌 그곳에서 하는 게 엄청난 기념행사가 될 것"이라는 진전된 언급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 남측지역인 평화의 집과 자유의 집을 콕 집어 언급한 것은 그만큼 판문점을 유력한 회담 장소로 고민한다는 방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일 기자들에게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했다기보다는 두 분 사이에 장소를 놓고 어디가 좋겠냐고 얘기하면서 자연스레 나온 것"이라며 "판문점 개최의 장단점에 관해 얘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유의 집과 평화의 집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고 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먼저 판문점 얘기를 꺼냈고 문 대통령이 그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를 한 것으로 안다"며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판문점을 권했거나 설득했다는 얘기는 잘못된 것"이라고 했다.
이는 다시 말해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판문점 얘기를 꺼냈다는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 판문점을 주요 옵션 중 하나로 여기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분단을 녹여내고 새로운 평화의 이정표를 세우는 장소로는 판문점이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다른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판문점에서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 아무래도 남북미 3자 회담도 연결돼서 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레 전망했다.
북미정상회담 시계가 5월 중하순으로 앞당겨진 가운데 판문점에서 열린다면 북미회담을 추동하기 위해 이달 중순 미국 개최를 추진 중인 한미정상회담도 유동적일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하는 구도에서 굳이 문 대통령이 미국까지 가서 정상회담을 할 필요성이 줄어들어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모든 상황이 유동적"이라고 했다.
다만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북미회담 장소와 시간 등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며 "지금으로서는 결정의 주체들이 결정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YNAPHOTO path='AKR20180501042251001_02_i.jpg' id='AKR20180501042251001_0201' title='' caption=''/>
하지만 한미정상이 북미회담 장소로서의 판문점을 놓고 대화를 나누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고민하는 현재 상황을 종합하면 '포스트 남북정상회담'에서도 문 대통령의 주도적 역할이 여전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북미 간 가교역할을 하면서도 주도권을 유지하는 한반도 문제 해결의 '운전자' 면모를 각인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성과를 북미회담으로 고스란히 이어가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를 통해 종전선언으로 '화룡점정'하겠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다.
이미 남북정상은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정전협정 체결 65주년인 올해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중국까지 포함한 4자회담 개최를 추진키로 한 바 있다.
작년 7월 독일 '베를린 선언' 발표 이래 남북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 합의를 끌어내고 급기야 북미 간 고민의 한 지점인 장소 결정에도 어느 정도 관여함으로써 한반도 문제를 주도적으로 풀어나가겠다는 의지가 현실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 장소로 판문점을 논의했다는 것은 남북 정상 사이에서도 이 사안이 이미 논의됐을 거라는 추론을 낳는다. 이 경우 판문점 낙점 여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이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에서 핵심으로 다뤄질 비핵화 방법론에 대해서도 중재 역할을 마다치 않는 것으로 보인다.
'리비아식 해법'으로 불리는 일괄타결 프로세스의 속도전을 강조하며 '비핵화 이전 보상 없다'는 메시지를 지속하는 미국과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고수하는 북한 사이에서 절충안을 모색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미, 이에 관해서도 현실적 절충안 또는 타협안을 북한과 미국에 각각 전달했을 가능성이 작지 않다.
불신과 대결에서 신뢰와 평화로 옮겨 가는 대전환기의 이정표가 될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문 대통령이 중재자이자 협상가로서 얼마나 더 큰 역할을 할지 주목하는 시선은 그래서 지속되고 있다.
honeyb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