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 "주한미군은 한미동맹의 문제…평화협정 체결과 무관"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주한미군은 한미동맹의 문제"라며 "평화협정 체결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의 주한미군 관련 발언에 대해 문 대통령이 직접 한 말을 전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또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조금 전 문 특보에게 전화해 대통령의 이런 말을 전달한 뒤, 대통령의 입장과 혼선이 빚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특보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02/AKR20180502092400011_01_i.jpg)
전문보기: http://yna.kr/DWR7aK7DAEK
■ '댓글조작' 드루킹 첫 재판…"혐의 인정한다"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댓글조작 혐의를 받는 파워블로거 '드루킹' 김모(49)씨가 법정에서 혐의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김씨는 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12단독 김대규 판사 심리로 열린 첫 공판에서 재판장이 공소사실을 인정하는지 묻자 "네 인정합니다"라고 답했다. 김씨의 변호인도 "공소사실을 전부 인정한다"고 말했다. 구속 상태인 김씨는 이날 녹색 수의를 입고 법정에 나왔다.
전문보기: http://yna.kr/mXR5aK-DAEO
■ 북미대화 장소 '변천사'…유럽·동남아서 판문점·평양도 거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만나는 세기의 정상회담 장소 발표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과거 북미대화의 장소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국전쟁 이후 한 번도 만난 전례가 없는 북미 정상 간 '빅 이벤트'도 큰 관심거리이지만, 둘이 대좌하는 장소 역시 역사에 기록될 법하기 때문이다.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와 관련해 북한은 전혀 거론하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미 대통령의 언급과 외신 보도를 종합해보면 판문점 이외에 제3의 장소인 싱가포르가 입길에 오르고 있다.
전문보기: http://yna.kr/jWRTaKjDAEq
■ 남북미중 '종전선언 4국지'…방북 中왕이, 3자 저지 총력
'종전선언' 참가국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비핵화 논의와 맞물려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정착으로 가는 길에 '탄력'을 주게 될 종전선언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논란의 초점은 '3자' 또는 '4자'냐에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 연내 종전선언을 명시하면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문구를 달아 '중국 배제' 가능성이 불거진 데 대해 중국 내부의 반발이 커지는 모양새다.
전문보기: http://yna.kr/xVRkaKmDAEJ
■ 4월 소비자물가 1.6%↑ '먹거리 비상'…정부 "관리 강화"
농산물값이 크게 뛰고 외식비 물가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체감 식비'가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개월째 1%대에 머물렀으나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는 물가 안정세가 지속할 것이라고 보면서도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고공행진 품목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전문보기: http://yna.kr/6URRaKaDAE8
■ 세월호특조위 황전원 "朴정부 때 세월호 진상규명 방해 인정"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회적참사 특조위) 황전원 상임위원이 박근혜 정부 시절 1기 세월호 특조위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진상규명을 방해한 사실을 인정했다. 2일 416연대에 따르면 황 위원은 전날 열린 사회적참사 특조위 제5차 전원위원회에서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에게 공개 사과하고, 향후 공정하게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서약했다. 황 위원은 서약서에서 "본인은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에서 비상임위원과 상임위원으로 재직할 당시 박근혜 정권과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이 조직적으로 특조위 조사활동을 방해하고 위법하게 강제해산을 시키는 과정에서 역할을 했다"며 "이로써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방해하고, 국민과 피해자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겼음을 인정하고 반성한다"고 말했다.
전문보기: http://yna.kr/9UR0aKUDAEe
■ 경찰 '댓글공작' 수사단, 경찰청 정보국도 압수수색
이명박 정부 시절 경찰의 '댓글공작'을 자체 수사하는 경찰이 정보경찰을 총괄하는 경찰청 정보국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경찰청 특별수사단은 2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본청 정보국에 수사관 20여명을 보내 각종 문건과 PC 저장 문서 등 증거를 확보 중이다. 앞서 수사단은 이명박 정부 집권기인 2011∼2012년 경찰청 보안국 중심으로 정부 정책을 지지하는 댓글공작이 일부 실행됐다는 의혹과 관련해 본청 보안국에 이어 서울·경기남부·부산·광주경찰청 보안부서를 압수수색했다.
전문보기: http://yna.kr/UXROaKwDAEz
■ 검찰 '횡령수익 몰수' 검토…MB 횡령혐의 340억도 동결되나
뇌물뿐 아니라 횡령을 저질렀을 때도 범죄수익을 몰수하는 방안을 검찰이 연구·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340억원대 횡령혐의를 받는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추가 재산동결이 이뤄질지 관심을 끈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찰청 범죄수익환수과는 최근 '부패재산의 몰수 및 회복에 관한 특례법'(부패재산 몰수법) 개선방안을 연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보기: http://yna.kr/W4ROaKQDADC
■ 경찰, '갑질' 조현민 구속영장 검토…"혐의사실 전면 부인"
이른바 '물벼락 갑질'로 논란을 빚은 조현민(35) 전 대한항공 전무가 경찰 조사에서 폭행과 특수폭행,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 등 모든 혐의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서울 강서경찰서 관계자는 "조 전 전무가 음료가 담긴 종이컵을 사람을 향해 뿌린 것이 아니라 자리에 앉은 상태에서 출입구 방향으로 손등으로 밀쳤다고 진술했다"고 2일 밝혔다. 또 당시 회의가 중단된 데 대해 "조 전 전무는 자신이 해당 업무에 대한 결정 권한이 있는 총괄책임자이며, 본인의 업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전문보기: http://yna.kr/xWRfaKJDAEg
■ '전세 안 나가요'…서울 아파트 전셋값 두달 연속 하락
새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두달 연속 하락했다. 낙폭도 전 달보다 커지면서 역전세난이 확산할 조짐이다. 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4월 주택가격 동향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달 대비 0.20% 떨어지며 3월(-0.08%)에 이어 두달 연속 하락했다.
전문보기: http://yna.kr/.WRXaKxDAEi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