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03/AKR20180503176452030_03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03/AKR20180503176452030_02_i.jpg)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올해 초부터 시작된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5월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부터 감자, 무 등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가공식품 가격까지 줄줄이 인상돼 소비자들의 장보기 부담이 커졌다.
4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인기 음료·소시지·사탕의 가격이 이달 초를 기점으로 최대 20% 인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3일부터 동아오츠카의 데미소다(250㎖) 가격이 1천원에서 1천200원으로 20% 올랐다.
마찬가지로 동아오츠카 제품인 포카리스웨트 620㎖ 용량 가격은 2천200원에서 2천300원으로 4.5% 인상됐고, 1.5ℓ 용량 제품 가격은 3천300원에서 3천500원으로 6.1% 비싸졌다.
생수 가격도 올랐다.
해태htb(옛 해태음료)의 평창수 프리미엄(500㎖)은 850원에서 950원으로 11.8%, 강원평창수(2.0ℓ)는 1천200원에서 1천400원으로 16.7% 각각 인상됐다.
포도봉봉과 파인애플봉봉(240㎖)은 700원에서 800원으로 14.3%, 코코팜피치핑크복숭아(240㎖)는 900원에서 1천원으로 11.1% 올랐다.
진주햄의 인기 소시지 제품인 천하장사(50g)는 1천400원에서 1천500원으로 7.1% 올랐다.
롯데제과 목캔디 가격은 700원에서 800원으로 14.3% 뛰었다.
업계 관계자는 "원부자재 가격 및 인건비 인상을 이유로 식품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올해 최저임금이 예년보다 큰 폭인 16.4% 인상된 후 늘어난 인건비 부담 등을 이유로 식품업계가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최근 해태제과는 오예스와 맛동산, 웨하스, 오사쯔, 미니자유시간 등 5개 제품의 가격과 중량을 조정해 중량당 가격을 평균 12.7% 인상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3월부터 냉동만두 5종 가격을 평균 6.4% 인상했다. CJ제일제당의 인기 제품인 햇반은 평균 9%, 스팸은 평균 7.3% 가격이 올랐다. 어묵 10종은 가격이 평균 9.8% 인상됐다.
코카콜라음료는 지난 2월 콜라 등 17개 품목 출고가를 평균 4.8% 올렸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숏다리, 찡오랑 등 마른 안주류 품목 가격도 최대 20%가량 인상됐고, 편의점표 김밥과 도시락, 샌드위치 상당수도 가격이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점유율 1위 업체들이 가격을 인상하자 물가 부담 등을 고려해 눈치를 보던 경쟁업체들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5/04/PYH2018050410540001300_P2.jpg)
gatsb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