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미사일 배치…군사패권 강화(종합)

입력 2018-05-03 20:56  

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미사일 배치…군사패권 강화(종합)
中외교부 "주권 보호와 안전상 필요 조치…어떤 국가도 겨냥하지 않아"



(서울ㆍ베이징=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심재훈 특파원 = 중국이 영유권 분쟁해역인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 필리핀명 칼라얀 군도)에 방어용 미사일을 배치했다고 미국 CNBC 방송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방송은 미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의 대함 순항미사일과 지대공 미사일이 스프래틀리 제도의 피어리 크로스 암초(중국명 융수자오<永暑礁>), 수비 암초(주비자오<渚碧礁>), 미스치프 암초(메이지자오<美濟礁>) 등 3개 인공섬에 최근 한 달 사이 배치됐다고 전했다.
이중 대함 순항미사일(YJ-12B)은 이들 인공섬의 295해리(546㎞) 이내 선박을, 지대공 미사일(HQ-9B)은 160해리(296㎞) 이내의 항공기와 드론, 순항미사일을 각각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국은 미스치프 암초에 통신과 레이다 시스템을 교란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했다. 이는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을 펼치는 미국 등 서방국가를 겨냥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미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남중국해에서 중국에 의해 전파교란을 당했다는 홍콩 동방일보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중국은 이미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西沙>군도, 베트남명 호앙사 군도)의 우디 섬과 남중국해 북부 하이난(海南) 성에 미사일을 배치했다.
미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중국의 남중국해 추가 군사화와 관련, "분쟁 당사국 간의 긴장을 높이며 불신을 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난사 군도와 부속 해역에 대해 확고한 주권을 갖고 있다"면서 "중국은 난사 군도에서 필요한 국토방위 시설 설치를 포함해 평화적인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주권을 보호하고 안전상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어떤 국가도 겨냥하지 않는다"면서 "유관국이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보길 바라며, 중국은 무역 대국이자 지역 평화 안정의 수호자로서 각국과 계속 협력해서 남중국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남중국해 전문가인 그레그 폴링은 "지대공 미사일이든, 대함 미사일이든 스프래틀리 제도에 배치된 첫 미사일이 될 것"이라며 중국이 주요 국제교역로인 남중국해 지배를 강화하는 행보를 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중국은 베트남, 필리핀 등과 갈등을 빚고 있다. 미국과 영국, 호주 등 서방국가들은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를 둘러싸고 중국과 대립한다.
president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