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제주지역 공공시설과 민간시설 10개소 중 1개소가 안전에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08/AKR20180508097600056_01_i.jpg)
제주도는 지난 2월 5일부터 4월 13일까지 공공시설 1천179개소와 민간시설 2천645개소 등 모두 3천824개소에 대해 국가안전대진단을 한 결과 85.3%인 3천263개소는 안전관리 상태가 양호했다고 8일 밝혔다.
점검 과정에서 소화기 사용 기간 초과, 피난로 물건 적치, 공사장 낙하물 방지망 미설치 등 경미한 사항이 지적된 150개소에 대해서는 즉시 현장 시정 조치를 완료했다.
그러나 나머지 411개소(10.7%)는 안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408개소는 교량의 신축이음 탈락, 난간 노후, 전통 시장의 철물·구조체 녹 발생, 누수 발생, 복지시설 등의 건축물 벽체 균열 발생, 소방·전기 시설 결함, 급경사지 위험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공시설인 성산하수처리장과 민간시설인 연립주택 2개소 등 3개소는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는 이들 중 351개소에 대해서는 올해 안으로 시설 개선을 하고, 나머지 60개소에 대해서는 시급성과 위험성을 고려해 이른 시일에 위험요인을 제거할 계획이다.
국가안전대진단에는 민간 전문가와 공무원, 관리 주체 등 총 6천217명이 참가했다.
예년과 달리 올해는 안전 점검 실명제를 도입해 세밀하게 점검했다. 점검 대상 중 47%인 1천799개소에 대해서는 민·관 합동 점검과 전문기관 위탁 점검을 통해 건축, 소방, 전기, 가스 등 분야별 점검도 시행했다.
민관 합동과 전문기관 위탁 점검률은 지난해 36%에서 47%로 11%포인트 높아졌다.
유종성 도 도민안전실장은 "이번 국가안전대진단 결과 중 공개 가능한 분야에 대해서는 시설명과 위치, 조치 계획 등을 도민에게 상세히 공개해 안전 의식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h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