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운용자산 2천억弗로 확대…성과중심 보상체계 구축"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최희남 한국투자공사(KIC) 사장이 이해 상충, 법령 위반 여부 등을 감안해 엘리엇 펀드와 투자계약 해지를 검토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최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모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엘리엇 사태와 관련한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KIC는 2010년 대체투자 수단으로 헤지펀드 프로그램을 도입해 현재 엘리엇 펀드에 투자한 금액이 5천만달러(약 540억원)에 달한다.
엘리엇은 삼성물산[028260]과 제일모직 합병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며 한국 정부를 상대로 투자자-국가간 소송(ISD)을 추진 중이며 7천억원이 넘는 손해배상을 요구한 상태다.
최 사장이 언급한 이해 상충은 이 부분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KIC는 기획재정부가 위탁한 750억달러를 운용하고 있다.
김상준 부사장은 "한국투자공사의 스폰서는 정부이고 엘리엇이 정부에 뭔가를 내놓은 상황"이라며 "100% 이해 상충이라고 할 만한 상황이 아니어서 사태의 전개방향을 예민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부연했다.
법령 위반은 검찰이 수사 중인 이른바 '5% 룰' 위반 여부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검찰은 3년 전 삼성물산 지분 매입 과정에서 발생한 엘리엇의 공시의무 위반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17/AKR20180517105900002_01_i.jpg)
최 사장은 현대차[005380] 지배구조 개편안과 관련해 "헤지펀드에 위탁한 상황에서는 위탁운용사가 주주권을 행사하게 돼 있어 현대차에 투자한 엘리엇의 판단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엘리엇은 현대차 그룹이 제시한 지배구조 개편안에 반대 입장이다.
최 사장은 2020년까지 250억달러 이상의 순수익을 내고 위탁자산을 늘려 운용자산을 2천억달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대체자산의 비중을 현 14%에서 19%까지 늘리고 국내 연기금의 자산을 유치하는 노력을 벌이겠다고 했다.
지난해말 기준 총 운용자산은 1천341억달러로, 이중 위탁자산이 1천억달러, 투자수익이 341억달러다.
지난해 총자산 수익률이 16.42%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연환산 수익률은 5.99%다.
최 사장은 성과중심의 조직문화를 형성하고자 운용성과에 따라 지급하는 업적급의 비중을 확대하고 그 차등 폭을 확대해 성과와 보상체계 간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수행 중인 조직 진단이 마무리되면 중장기적으로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조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했다.
자산운용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식운용의 빅데이터 알파 전략 등 신규 전략의 도입, 외부환경 변화를 반영한 세계적 수준의 통합 투자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했다.
최 사장은 아울러 국부펀드로서 사회적 책임성을 강화하고 국내 금융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최근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해 글로벌 스튜어드십 코드를 차질없이 도입하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펀드를 조성하고 전문 위탁운용사를 통해 자금 집행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pseudoj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