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침 통해 대장암 발생의 전조증상 현저히 감소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보건복지부는 '나노 다공성 침 개발 및 대장암 치료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이후 열람 건수가 1천200건을 넘는 등 해외 과학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나노 다공성 침'은 전기화학적 나노기술을 적용해, 침 표면에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미터(㎛)에 이르는 미세한 구멍을 갖는 한방 침을 말한다. 복지부에서 지원한 '나노·한방 융합기술 기반 고효능 나노테크 한방침 개발' 과제를 통해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인수일 교수팀이 개발했다.
이 침을 주기적으로 시침 받은 쥐는 대조군에 비해 대장암 발생의 전조증상(비정상적인 맥관군집 형성)과 진행지표(베타카테닌) 발현량이 현저히 감소했다.
복지부는 "나노 다공성 침 시침이 쥐의 대장암 진행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작년 10월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게재된 이래 현재까지 1천202번 열람됐다. 논문은 한방 침 분야에서 유일하게 사이언티픽 리포츠의 2017년 암 분야 '톱 100' 논문으로 선정됐다.
박종하 보건복지부 한의약산업과장은 "이번 나노 다공성 침 연구 성과는 오랜 역사의 침구의학과 최첨단 나노기술을 접목해 암 치료 분야에서의 그 학술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로 그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23/AKR20180523041600017_01_i.jpg)
withwi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