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국내외 환자 비교결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 젊은 유방암 환자가 많은 이유가 유전적 차이 탓이라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유방암은 전 세계 여성암 중 25.2%를 차지하고, 국내에서는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생기는 암종이다. 그런데 같은 유방암이라도 아시아와 서구의 발생 양상이 다르다. 서구에서는 폐경 후 유방암이 85%에 달하지만, 아시아에서는 폐경 전 유방암이 절반 정도에 이른다.
문제는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병하면 병의 생물학적 동태가 매우 공격적이라는 점이다. 암의 진행 속도가 빨라 각종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장기적인 예후도 나쁜 게 특징이다.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유방암 환자 187명의 암 조직 유전체를 분석한 뒤 국제 암유전체컨소시엄 데이터(TCGA)와 비교한 결과, 서구와 다른 분자생물학적 특징에 의해 유방암 발생 양상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국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9.3세로 국제 컨소시엄의 58.3세보다 20세가량 젊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12/12/01/C0A8CAE200000160487C0C6500000307_P2.jpg)
이번 연구에는 삼성암병원 남석진(유방외과)·박연희(혈액종양내과) 교수, 박웅양 삼성유전체연구소 소장, 다국적제약사 화이자의 정얀 칸(Zhengyan Kan) 박사가 공동으로 참여했으며,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국내 유방암 환자들의 가장 큰 특징으로 '여성호르몬/성장호르몬 수용체 양성'(ER+/HER2+)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을 꼽았다. 연구에서 확인된 해당 유형의 환자 비율은 국내가 16.1%로, 국제 컨소시엄의 5.4%보다 3배나 됐다.
또 치료가 쉽지 않은 '루미날 비'(luminal B)형에 해당하는 비율도 국내가 39.2%로 국제 컨소시엄의 33.2%보다 다소 높았다. 반면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은 '루미날 에이'(luminal A)형의 비율은 서구 여성이 43.7%로, 국내 여성의 28.3%를 상회했다.
그뿐만 아니라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BRCA 유전자의 변이율도 국내 환자 10.8%, 서구 환자 4.7%로 대조를 보였다. 또 다른 암 관련 유전자인 TP53도 국내 환자 47.9%, 서구 환자 32%로 차이를 나타냈다.
박연희 교수는 "한국 여성의 유방암이 서구와 차별화되는 고유한 생물학적 동태를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가 향후 새로운 치료법 개발로 이어지는 징검다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