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독감 6배 전염력…예방접종 체계 갖춘 우리나라에선 유행 우려 낮아
"예방접종 했는데도 면역 생기지 않는 경우는 2%…학생 3명 이례적 감염"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5/29/01/C0A8CA3C00000163A93DD7DB000F8765_P2.jpeg)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 지난 28일 질병관리본부가 서울 한림연예예술학교 학생 3명이 홍역 환자로 확진됐다고 발표한 뒤 감염원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이들 학생 중 1명이 외국인에게 길 안내를 하는 등 외국인과 접촉한 것이 감염 원인이라는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에 네티즌들 사이에 "길을 가르쳐줬다고 홍역에 걸리나?"라는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예방접종을 안 했다면 홍역 환자에게 길 안내를 하다가도 홍역에 걸릴 수 있지만, 면역 체계가 잘 갖춰진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홍역 바이러스는 침방울을 통해 전파될 수 있고, 공기 흐름을 타고 이동해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도 침투 가능할 정도로 전파력이 매우 강하다.
예방접종력이 전혀 없다고 가정했을 때 1명이 감염시킬 수 있는 사람 수를 재생산지수라고 하는데, 홍역의 경우 이 지수가 12∼18로 매우 높다. 즉, 백신 접종이 전혀 없는 상태라면 홍역 환자 1명이 최대 18명에게 병을 옮길 수 있다는 뜻이다.
인플루엔자(독감)의 경우 이 지수가 2∼3이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은 1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홍역 환자와 대화를 하거나 같은 공간에 머무는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충분히 홍역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는 "홍역 감염성을 가진 사람에게 노출되면 면역이 없는 사람은 90%가 감염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홍역 백신 접종률은 현재 고등학생 기준 약 98%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홍역은 전파력이 매우 강한 질병인데 3명이 확진됐음에도 더 안 퍼진 것은 그만큼 군중 면역이 잘 갖춰져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29/AKR20180529144600502_02_i.jpg)
더구나 우리나라는 2014년 3월 WHO로부터 홍역 퇴치 국가로 인증을 받았으며 국내에서 자생적으로 홍역이 발생하지 않는다.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3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홍역 환자는 모두 478명인데 이중 약 95%인 456명이 해외에서 감염되거나 국내에서 이들 1차 감염자 혹은 외국인 관광객에게서 옮은 경우다.
나머지 약 5%는 원인 불명으로 분류되는데 외국인 노출 등 감염 경로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홍역이 확진된 학생에게서 발견된 바이러스도 'D8형'으로 우리나라 토착형이 아니다.
D8형은 유럽,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이로 인해 유럽연합(EU) 회원국에서는 작년에만 1만4천600명이 홍역을 앓았다.
다만, 확진 학생 3명이 모두 홍역 예방접종을 했음에도 드물게 홍역에 걸린 이른바 '돌파 감염' 케이스라는 점에서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다수의 전문가는 우리나라에 홍역이 유행하지 않은 지 거의 20년이 돼가면서 '자연 부스터'(boosterㆍ촉진) 효과가 없어 면역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오 교수는 "예방 주사를 스케줄에 맞추어 제대로 맞지 않았거나 스케줄에 맞춰 제대로 맞았지만, 면역이 생기지 않은 것인지 봐야 한다"며 "후자의 경우는 매우 드물며 예방 주사를 맞은 사람 가운데 약 2% 정도"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예방접종을 했는데 홍역에 걸린 경우에도 접종력이 전혀 없는 환자보다는 증세가 심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5/29/02/C0A8CA3C00000163AAA11194000FA93C_P2.jpeg)
gogo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