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협의회, 차기 상위급 협의회서 방안 결정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01/AKR20180601081700054_02_i.jpg)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 민주화운동 사적지인 옛 전남도청의 복원이 건물 복구와 활용계획 수립 등으로 분리될 전망이다.
1일 광주시에 따르면 옛 전남도청 복원협의회가 내주 상위급 협의회를 열어 이러한 방안을 논의한다.
광주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도청 복원협의회는 2021년 완료를 목표로 옛 도청 복원을 추진 중이나 아직 시행 업체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올해 1월과 3월 두 차례 건물 복원과 콘텐츠 구성을 위한 기술용역 공고를 냈는데 제안서를 낸 업체가 한 곳도 나오지 않았다.
용역 과업지시에는 기초조사, 기본계획 수립, 복원 방안 및 활용계획 제시 등이 포함됐는데 업체들이 부담을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용역을 낸 협의회조차도 1980년 5월 항쟁 당시 옛 도청 고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도청복원 상위급 협의회는 건물 외형부터 우선 복원하고, 내부 콘텐츠 구성을 위한 용역을 따로 발주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5·18 당시 시민군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은 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시민군 상황실과 방송실 철거 등 원형훼손 논란에 휩싸였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01/AKR20180601081700054_01_i.jpg)
2015년 11월 전당 개관에 맞춰 문을 열 예정이었으나 역사현장으로도, 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도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전당 개관 1년 6개월이 지나고 나서야 '열흘간의 나비떼'라는 주제로 광주 정신을 구현한 전시물을 채워 한 달 동안만 시민을 맞았다.
항쟁 38주년을 맞은 올해도 지난달 15일부터 오는 17일까지 한시적으로 개방 행사가 열렸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