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째 1층 출입문 사용 불가·엘리베이터 가동 중단
역사관 측 "시설보호·관람객 안전 등 이유로 내린 결정"
(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1주일 전 부산 일본영사관 인근에서 강제철거된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7㎞가량 떨어진 일제강제동원역사관(역사관)에 임시보관된 이후 역사관 출입이 통제돼 관람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07/AKR20180607102100051_01_i.jpg)
역사관은 지난 1일부터 1층 출입문 사용을 통제하고 엘리베이터를 운행하지 않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31일 노동자상이 1층 출입문 옆 관람객 대기공간인 '울림의 방'에 임시보관된 이후 1층 출입문을 통한 역사관 입장은 불가능한 상태다.
매일 새벽에 배달되는 신문조차 1층 출입문이 아닌 경비실 창문을 통해야 하는 상황이다.
역사관 출입이 통제되면서 장애인, 어린이나 유아, 노인 등의 관람객들은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관람 시간에 1층 출입문이 닫힌 탓에 주차장에서 역사관 4층 전시실로 이어지는 외부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07/AKR20180607102100051_02_i.jpg)
부산 남구 한 어린이집의 4세반 원아들은 이날 오전에 역사관 관람을 왔다가 외부 계단을 걸어 1층부터 4층까지 오르내리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원장 A 씨는 "오늘 미세먼지가 있는 편이어서 외부 일정을 취소하고 내부 활동이 가능한 역사관으로 왔는데 1층 출입문이 닫혀있어 당황했다"며 "원생들에게 마스크를 씌워 수십 개의 계단을 오르내리느라 힘들었다"고 말했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유모차를 갖고 온 부모들은 역사관에 왔다가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발걸음을 돌리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최근 일주일째 역사관이 사실상 휴관인 셈이다.
이 때문에 역사관 측의 출입 통제가 과도한 결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거의 매일 역사관을 방문하고 있는 부산 남구 주민 김상금(69) 씨는 "최근 며칠간 시민단체 관계자가 단 한 명도 역사관에 오지 않고 있어 돌발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인다"며 "역사관 측이 관람객의 불편은 안중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역사관 측은 지난달 31일 노동자상이 역사관 내부로 반입된 이후 관할 남부경찰서에 시설보호를 요청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5/31/PYH2018053125460005100_P2.jpg)
현재 80명가량의 경찰이 역사관 주변에 배치된 상태다.
역사관 관계자는 "시설보호와 관람객 안전 등을 이유로 내린 결정"이라며 "장애인 관람객이 요청하면 2층의 출입문을 개방해 관람을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린이와 유아 등 관람객들의 불편은 알고 있지만 향후 추이 등을 지켜본 뒤 출입 정상화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5/11/24/PYH2015112414140005100_P2.jpg)
사업비 506억원이 투입된 역사관은 2015년 12월 10일 세계인권의 날에 맞춰 부산 남구 당곡공원 일대에 개관했다.
모두 6층 규모이며 전시실 4·5층에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수집하고 기증받은 자료 2천여점 중의 일부가 전시되고 있다.
현재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행정안전부의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pitbul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