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반감 누적…"중국에 땅 못 내준다"
화염병 투척 등 폭력사태로 비화…당국, 시위확산 방지 총력
(하노이=연합뉴스) 민영규 특파원 = 베트남 전역에서 지난 9일 시작돼 폭력사태로 비화한 반중국 시위는 베트남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경제특구 조성 관련 법안이 매개체가 됐다.
베트남 정부는 적극적인 외국자본 유치를 위해 북부 꽝닌 성의 번돈, 중부 카인호아 성의 박번퐁, 남부 끼엔장 성의 푸꾸옥을 경제특구로 조성할 계획이다.
관련 법안에 경제특구의 외국인 투자자에게 최장 99년간 토지를 임대할 수 있는 조항이 들어가면서 문제가 됐다.
현행법상 다른 지역에서는 최장 70년간 토지를 임대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이 포함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소셜미디어에서는 "중국에 특혜를 줘 국가안보가 위협받을 것"이라고 비판하는 글이 쇄도했다.
세간에는 "정부가 중국에 땅을 팔아넘기려는 것이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법안 어디에도 중국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세계 부동산 시장의 '큰손'이 된 중국이 대거 투자해 경제특구를 독식할 것이라는 우려때문이다.
또 법안 가운데 꽝닌 성 관련 조항에 "베트남과 국경을 공유하는 이웃 국가의 국민에게 관광목적인 경우 확정 기간 안에 비자를 면제해준다"는 내용이 들어갔고, 꽝닌 성 접경국가는 중국밖에 없어 불만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캄보디아와 접해 있는 끼엔장 성 관련 조항에도 같은 내용이 있지만 누구도 이를 문제 삼지 않았다.
경제특구법안에 대한 반발은 베트남 사회 저변에 짙게 깔린 반중감정에서 촉발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과거 1천 년가량 중국의 지배를 받았던 베트남은 1974년 관할하던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西沙>군도, 베트남명 호앙사 군도)를 중국에 점령당하는 아픈 기억이 있다.
또 베트남은 1979년 중국과 국경전쟁을 벌였다.
이후 양국은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 베트남명 쯔엉사 군도) 등 남중국해에서 치열한 영유권 분쟁을 하면서 베트남 국민 사이에 반중감정이 쌓였다.
이처럼 해묵은 반중감정은 수차례 시위로 표출됐다.
중국이 2007년 이곳을 자국 행정구역으로 선포했을 때나 2011년 중국 순찰함이 분쟁지역에서 베트남 어선에 위협사격을 가하고 석유 탐사선의 케이블을 절단했을 때도 반중시위가 있었다.
특히 2014년 중국이 파라셀 군도에서 석유 시추를 강행하자 베트남 전역에서 대규모 반중시위가 벌어져 중국인 노동자가 2명 숨지고 100여 명이 부상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반중시위는 외교 문제로 번졌고, 중국인이 과격시위를 피해 9천명 이상 귀국하기도 했다.
지난 9일 수도 하노이시와 남부 경제도시 호찌민시 등 곳곳에서 시작된 이번 반중시위도 점차 격렬해지는 양상이다.
베트남 정부가 10일 경제특구법안 처리를 연기하고 법안에서 토지임대 조항을 빼겠다고 한발 물러섰는데도 반중시위는 오히려 과격해졌다.
10일 베트남 남동부 빈투언 성에서는 시위대 수백 명이 인민위원회 건물로 몰려가 차량과 오토바이 10대 이상을 불태우고 출입문을 부쉈다.
시위대는 또 건물과 경찰차에 돌을 던져 파손했다. 이어 해산하려는 진압 경찰과 충돌, 경찰관 수십 명이 부상했다.
이어 11일 빈투언 성 뚜이퐁 지역에서 대규모 반중 시위대가 1번 고속도로를 점거하고 차량에 불을 질렀다.
시위대는 또 해산을 시도하는 경찰에 돌과 화염병을 던지며 격렬하게 저항했다.
당국은 이에 따라 시위확산을 막기 위해 본격 대응에 나섰다.
시위 현장에서 100여 명을 연행한 당국은 12일 "시위대 가운데 다수가 마약투약 전과가 있는 실업자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반중시위가 반정부 시위로 비화하려는 조짐을 보이자 시위대와 국민을 떼놓으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또 중국 여행사들이 반중시위를 피해 베트남 여행 스케줄을 변경하는 등 부작용이 가시화하자 당국은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에서 당국이 강경 대응에 나선 만큼 반중시위는 다소 주춤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youngky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