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990~2007년 미군 유해 443구 송환…11년 만에 송환 재개될 듯
국군 유해송환에도 긍정 영향…비무장지대 유해발굴도 논의 가능성
(싱가포르·서울=연합뉴스) 특별취재팀 김호준 기자 =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쟁실종자 등의 유해송환에 합의함에 따라 한국전쟁 참전 미군 유해발굴과 송환사업이 11년 만에 재개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강력한 유해송환 의지를 보이는 상황에서 북미 간 이런 합의도 남북간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이 이날 서명한 공동성명의 4항에 따르면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명시됐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작업들이 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 지역 미군 전사자 유해발굴은 1990년에 시작돼 2007년까지 443구의 유해가 미국으로 송환됐다.
1990년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희망하던 북한이 그해 5월 판문점을 통해 미군 유해 5구를 최초로 송환한 걸 시작으로 1990~1994년 북한이 단독으로 발굴한 미군 유해 208구가 송환됐다.
1996년부터는 북한 지역에서 북미 양국의 공동 유해발굴 사업이 시작됐다. 함경남도 장진읍과 신흥리, 평안북도 운산군과 구장읍, 계천시 등지에서 진행된 북미 공동 유해발굴은 2005년까지 지속됐고, 229구의 미군 유해가 수습돼 미국으로 보내졌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가 마지막으로 송환된 것은 2007년 4월 빌 리처드슨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의 방문 때다. 리처드슨 주지사는 당시 6구의 미군 유해를 판문점을 통해 미국으로 옮겼다.
미군 유해로 판단돼 미국으로 보내진 유해 중 27구는 국군 유해로 판정돼 우리나라로 다시 송환되기도 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은 약 4천100명으로 추정된다. 이중 상당수의 유해가 수습되지 않아 앞으로 북한과 미군이 공동 유해발굴 사업을 재개하면 추가로 수습되는 유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군 유해 송환은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정상화의 길로 들어선 북미 관계의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미군 유해송환은 북한 지역에 있는 국군 유해 송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 이후 65년 동안 북한이 국군 유해를 남측에 송환한 적은 없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2007년 11월 2차 국방장관회담에서 남북은 유해송환에 합의했지만, 아직 실행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달 14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되는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식 때 언급한 '비무장지대(DMZ)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관계자는 "2차 국방장관회담 때 남북은 비무장지대 공동 유해발굴에도 합의했으나 역시 이행되지 않았다"며 "비무장지대 유해발굴은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DMZ의 평화적 이용 차원에서 앞으로 추진할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해발굴감식단 자료를 보면 비무장지대에서 전사한 국군이 1만여 명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서 전사한 미군은 2천여명으로 추정된다.
군 관계자는 "비무장지대에서 6·25전쟁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려면 지뢰 제거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ho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