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방법론·남북미 유해발굴 사업 등 논의할 필요 있어
북미정상회담 직후 한미정상통화처럼 김정은과 소통할 수도
가까운 시일 내 회담 보다는 핫라인 통화 가능성에 주목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서혜림 박경준 기자 = 북미 정상이 '완전한 비핵화'와 '북한의 체제 보장'이라는 '빅딜'을 이룬 가운데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정상 간 논의가 어떻게 이뤄질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회담으로 확보된 '데탕트'의 동력을 이어 가려면 남북미 3각 외교의 한 축인 남북관계의 심화·진전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번 회담과 관련한 긍정적 평가의 이면에는 북한 비핵화의 방법론을 둘러싼 양측의 근본적 견해차가 그대로라는 지적도 있는 만큼 이에 필요한 중재 역할을 위해서라도 남북 정상의 소통은 확대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 대통령이 남북 공동으로 착수가 가능한 협력에는 속도감을 내겠다고 밝힌 것도 그런 맥락 속에 위치한다.
문 대통령은 12일 이뤄진 한미정상통화에서 "북미 정상이 합의한 미군 유해발굴 사업의 경우, 남북 사이에도 유해발굴 사업에 합의된 상태이므로 남북미가 함께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을 북한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중재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북미정상회담의 성과와 관련한 양측의 정확한 입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어떤 식으로든 김 위원장과의 소통은 절실한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마친 데 이어 14일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을 청와대에서 만나 싱가포르 회담 결과를 실현하기 위한 한미공조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러한 사정들을 고려하면 이른 시일 내에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직접 소통을 하지 않겠느냐 하는 관측이 자연스럽게 뒤따른다.
역시 가장 먼저 거론되는 방법은 핫라인 통화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은 지난 4월 20일, 설치 완료 당일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실장과 북한 국무위원회 담당자 간 통화 뒤로는 가동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전까진 북미 간 소통이 중요하기에 핫라인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본다면, 이제는 남북 정상이 직접 소통할 필요성이 커진 만큼 핫라인 통화가 이뤄질 확률이 더 높아진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 가능성을 묻는 말에 "금방 되겠는가"라고 반문하면서도 "어떤 식으로 소통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여지를 남겼다.
일각에서는 남북 정상이 조만간 만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6일에 판문점에서 격식을 차리지 않고 전격적으로 김 위원장을 만난 데 이어 이틀 뒤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앞으로도 번잡한 형식을 뺀 남북정상회담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두 번째 정상회담 시점이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취소 선언으로 대단히 긴박한 때였음을 고려하면 그만큼 화급을 다투는 현안이 없는 이상 직접 만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남북 정상이 약속한 가을 평양 정상회담 역시 직접 회동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 중 하나다.
kj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