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힐 "뼈대에 살붙이는 벅찬 임무"…北무기리스트 확보와 협상인력 충원 과제
이르면 금주중 북미 고위급 회담 착수…트럼프의 전폭적 신뢰가 자산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6·12 북미정상회담 성사의 일등공신으로 꼽히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진정한 시험대에 오른다.
미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17일(현지시간) 폼페이오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합의라는 뼈대에 살을 붙이는 벅찬 임무에 직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총론을 제시하면서도 비핵화 검증 방식이나 시간표라는 각론을 제시하지 않은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살려 디테일을 채워야하는 일은 바로 폼페이오 장관의 몫이라는 의미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12일 정상회담 후 발표된 공동성명에서 '후속 협상을 주도할 사람'으로 명시됨에 따라 공식적으로 비핵화와 체제 보장을 맞바꾸는 세부 대화를 총지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금주 중으로 폼페이오 장관을 북미 고위급 회담의 대표로 내세워 후속협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폼페이오 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한 외교안보팀 전체를 소집해 북미정상회담 후속조치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밥 메넨데즈(뉴저지) 의원은 "대통령이 모든 어려운 부분을 폼페이오에게 남겼다"며 폼페이오 장관에게 만만찮은 과제가 주어졌음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정상회담 직후 서울과 베이징을 들러 회담 결과를 브리핑하고 중국의 대북 제재 유지를 설득하는 등 후속 작업에 착수한 폼페이오 장관도 앞으로의 난관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이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대신 '완전한 비핵화'라는 문구가 담긴 것을 놓고 서울에서 기자들과 설전을 벌인 것을 놓고 더힐은 "그의 어깨를 누르는 압력과 피로를 보여주는 순간"이라고 평했다.
전문가들은 폼페이오 장관이 후속 협상에서 처음으로 맞닥뜨릴 과제 중 하나가 북한 무기 프로그램의 전체 리스트를 받아내는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는 더힐에 "그것이 지금부터 1주 또는 2주 내로 폼페이오가 협상을 시작할 때 고려할 넘버원 현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그들이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알 때까지 비핵화 협상을 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국무부의 대북 협상라인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를 이끄는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아직도 의회 인준을 받지 못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수전 손턴 동아태 담당 차관보 지명자는 북미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사실상 제외된 것은 물론 경질설까지 나오고 있다.
우드로윌슨국제센터 내 키신저중미연구소 소장인 로버트 데일리는 "아직 제대로 인력을 채우지 않은 국무부로 어떻게 극도로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협상을 추진할 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물론 폼페이오 장관의 앞날에 먹구름이 드리운 것만은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뢰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후속 협상 과정에서 큰 무기가 될 수도 있다.
공화당 의들도 폼페이오 장관에게 지지를 보내며 낙관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맥 손베리 하원 군사위원장(공화·텍사스)은 "폼페이오 장관이 과거 나와 정보위에서 함께 활동했고 중앙정보국(CIA)에서 1년을 보낸 것을 고려할 때 그가 눈을 크게 뜨고 이 협상에 들어갈 거라고 생각한다"며 "그는 역사를 알고 북한 정권의 실체를 잘 안다. 그래서 잘해낼 거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린지 그레이엄(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도 "폼페이오가 협상팀에 있다는 것을 신에게 매일 감사해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비판적인 밥 코커(공화·테네시) 상원 외교위원장 역시 "폼페이오에게 많은 신뢰를 갖고 있다"면서 "그가 국무장관이어서 기쁘고, 그가 매우 현실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소속인 크리스 머피(코네티컷) 상원의원은 "나는 협상가로서 폼페이오를 그의 보스(트럼프 대통령)보다 더 신뢰한다"면서도 "트럼프가 부풀린 기대는 완전한 비핵화 약속이다. 난 그것이 북한으로서는 건너고 싶어 하지 않는 다리라고 생각한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