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여구 규모 예상…차량·항공기 이용 오산·日요코다 기지 이송 가능성
오산·요코다 기지서 유해 송환의식 후 하와이로 옮겨 신원확인 작업할듯
美국방부 관계자 방북 유해 분류작업 필요…"유해 송환까지 시간 걸릴 것"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북한의 미군 6·25 전쟁 전사자 유해 송환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그 규모가 200여 구 수준인 것으로 전해져 송환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연일 유해 송환을 언급하고 있는 점으로 미뤄볼 때 북미 양측이 이미 협의를 끝내고 송환 절차를 밟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이번 송환될 유해가 전례 없는 규모인 탓에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에서 유엔사가 북한군으로부터 관에 담긴 미군 유해를 한 구씩 넘겨받던 과거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이 적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군의 한 소식통은 22일 "한꺼번에 수십여 구의 미군 유해가 송환된 적은 있지만, 한 번에 200여 구 송환은 전례가 없다"며 "과거처럼 판문점에서 북한군이 관에 담긴 유해를 운구하면 유엔사가 한 구씩 인수하는 행사는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200개가 넘는 관을 이송하기 위해 항공기가 이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군 대형 수송기가 북한 지역으로 들어가 유해를 싣고 경기도 오산 미 공군기지나 일본 요코다 미 공군기지로 이송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여러 대의 차량을 이용해 미군 유해를 북한 지역에서 오산 공군기지로 옮길 가능성도 있다.
오산 혹은 요코다 미 공군기지에 미군 유해가 도착하면 그곳에서 유해 송환의식을 거행한 뒤 하와이 히컴 공군기지로 보내 신원확인 작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 소식통은 "북미 간 유해 송환 협의는 끝난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실제 유해가 송환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유해 송환을 위해서는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관계자가 북한을 방문해 유해 분류작업을 하는 등의 절차가 필요하므로 금명간에 유해 송환이 이뤄지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유세현장에서 "이미 오늘 200구의 미군 유해를 돌려받았다"고 밝힌 것은 북미 간 협의가 끝나 유해 송환 절차가 곧 시작된다는 예고성 발언으로 풀이된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자료를 보면 북한 지역 미군 전사자 유해발굴은 1990년에 시작돼 2007년까지 443구의 유해가 미국으로 송환됐다.
1990년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희망하던 북한이 그해 5월 판문점을 통해 미군 유해 5구를 처음 송환한 걸 시작으로 1990~1994년 북한이 단독으로 발굴한 미군 유해 208구가 송환됐다.
1996년부터는 북한 지역에서 북미 양국의 공동 유해발굴 사업이 시작됐다. 함경남도 장진읍과 신흥리, 평안북도 운산군과 구장읍, 계천시 등지에서 진행된 북미 공동 유해발굴은 2005년까지 지속됐고, 229구의 미군 유해가 수습돼 미국으로 보내졌다.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가 마지막으로 송환된 것은 2007년 4월 빌 리처드슨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의 방문 때다. 리처드슨 주지사는 당시 6구의 미군 유해를 판문점을 거쳐 미국으로 옮겼다.
지금까지 미국은 미군 전사자 유해발굴 비용으로 북한에 총 2천200만달러, 유해 1구당 5만691달러(5천620만원)을 지원했다. 북한이 이번에 200여 구를 한 번에 송환한다면 과거 전례에 비춰 발굴 보상비는 1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나, 미측이 보상비를 지불하면 대북제재 위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번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한 약속을 이행하는 차원이기 때문에 북측이 보상비를 받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ho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