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남북이 금강산에서 열린 적십자회담에서 8·15를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구체적인 일정과 규모를 확정했다. 상봉 대상은 남북 100명씩이며, 8월 20일부터 26일까지 금강산에서 상봉행사를 하기로 했다. 2015년 10월 이후 3년 가까이 만에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다시 열리게 됐다. 남북 정상 간 4·27 판문점 선언에서 큰 틀이 합의되긴 했지만,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구체적 협의가 원만히 마무리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상봉대상자 선정, 생사확인 등 필요한 준비들이 차질없이 진행되길 바란다.
가물에 콩 나듯 몇 년에 한 번씩, 그때그때의 남북관계 상황에 따라 열리는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주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이런 식의 상봉행사는 이제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이산가족 등록자는 총 13만2천124명이며 이 중 7만5천234명이 사망했고, 5만6천890명만 생존해 있다. 생존자 중 70세 이상이 전체의 85.6%에 이른다고 한다. 매년 고령화로 수천 명의 이산가족이 세상을 뜨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더는 눈감지 말아야 한다.
전면적인 생사확인부터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 남북에 흩어져 있는 이산가족이 서로의 생사를 확인하는 것은 이산가족 교류의 토대이다. 상봉행사 정례화, 상시 상봉, 서신교환, 고향 방문, 우편물 교환 등 이산가족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덜어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현재의 생존자 비율과 평균 기대수명을 고려할 때 모든 이산가족 생존자들이 한 번이라도 떨어진 혈육을 상봉하기 위해서는 최소 상봉 인원을 매년 7천3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하며, 7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에는 매년 6천900명 이상 상봉해야 한다는 한 연구결과가 지난해 나온 바 있다.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적 차원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최우선적 과제다.
그동안 우리는 이산가족의 전면적 생사확인을 진행하자고 요구해 왔지만 북측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판문점 선언 이후 달라진 남북관계 속에서 이번 회담에서 이와 관련된 구체적 진전이 있을지 주목됐지만 아쉽게도 이번에도 합의문에 포함되지 못했다. 남북이 향후 적십자회담과 실무접촉을 하고 인도적 문제들을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한 만큼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근본적 해법을 조속히 마련하기를 촉구한다. 인도주의적 입장에서 북측도 적극적으로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 꿈에도 그리던 혈육을 지척에 두고도 가슴에 응어리를 안고 끝내 눈을 감는 이산가족의 아픔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