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 포함 국제연구팀 논문 발표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속칭 독수리 성운이라고 부르는 'M16'의 기둥 모양이 자기장 영향으로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M16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가장 신비로운 우주 관측 사진으로 손꼽힌다.
M16는 지구로부터 약 7천광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성운에는 별이 탄생하는 속칭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 속해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 'BISTRO'(B-Fields in Star-Forming Region Observations)은 전파관측을 통해 창조의 기둥 내 자기장 방향이 기둥과 나란히 위치하고, 그 세기는 기둥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런 자기장이 없다면 기둥을 둘러싼 플라스마 압력에 따라 그 구조가 파괴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기둥 대신 올챙이 모양이나 구형으로 변한다는 뜻이다.
별들은 가스가 분자 형태로 존재하는 분자운에서 중력 수축으로 만들어진다.
별 탄생 영역의 자기장은 먼지로부터 나오는 열복사 관측을 통해 연구할 수 있다.
길쭉한 먼지 알갱이는 자기장 속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고, 자기장 방향과 수직 형태의 전파를 방출한다.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밀리미터 또는 서브 밀리미터 파장의 전파관측으로 편광 현상을 살피면 자기장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고 천문연구원은 설명했다.
국제 프로젝트 BISTRO는 JCMT(James Clerk Maxwell Telescope)를 활용한 대규모 과제 중 하나다.
JCMT는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있는 지름 15m 규모 서브마이크로미터 전파망원경이다.
서브마이크로미터를 관측하는 단일 전파망원경으로서는 세계에서 제일 크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만, 일본, 중국, 베트남 등이 참여하는 동아시아천문대(East Asian Observatory·EAO)가 운영한다.
BISTRO는 별 탄생 영역에서 자기장 역할을 연구한다.
전 세계 120여명의 천문학자 중 한국에서는 28명이 참여한다.
우리나라 연구 책임자인 권우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별 탄생에서 자기장 역할은 수십 년간 논란이 되는 난제"라며 "BISTRO 과제에 참여한 한국 연구자는 다른 별 탄생 영역의 자기장 형태와 세기를 살피는 만큼 다양하고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6월 10일 자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