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복지·사교육비 경감에 더 투자…권역별 체험관 등 설립
공문서 50% 줄여 교원 근무여건 개선·전문성 향상 약속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5/AKR20180625126200053_01_i.jpg)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임종식 경북도교육감 당선인은 "교육재정은 한정돼 있으나 앞으로 학생복지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사업에 더 많이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임 당선인은 26일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예산은 더 시급하고 필요한 곳에 우선 편성하는 것이 원칙이고 그동안 시설투자나 기타 교육여건 개선은 상당한 진척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4차산업 혁명시대에 대비한 미래형 인재를 키우기 위해 수학문화관 등 권역별로 체험관을 설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문서 총량제를 도입해 임기 안에 50%를 줄이는 등 교원 근무여건 개선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임 당선인과 일문일답.
-- 12년 만에 새 교육감으로 변화와 혁신에 대한 기대가 큰데
▲ 안전하고 건강한, 그리고 교육비 걱정 없는 학교를 만들어 달라는 학부모 요구가 가장 많았다. 그래서 친환경 무상급식을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또 아이들을 미세먼지에서 지켜내는 건강한 학교를 만들고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겠다. 교육기회 취약계층 교육비 부담을 최소화하는 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해서도 노력하겠다.
--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할 정책은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형 인재육성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메이커센터, 수학문화관 등 권역별로 체험관을 설립해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우수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에 두고 있다. 교육정책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경북 미래 교육위원회'와 같은 전문 기구를 설립하고 진로진학상담센터 등 전문기관도 만들 계획이다. 이런 시스템만 잘 갖추면 교육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본다.
-- 사교육비 부담 어떻게 줄일 것인가
▲ 방과 후 학교를 충실하게 운영해서 사교육비를 줄이고 공교육을 강화하겠다. 또 디지털 영어 교과서 활용과 같이 가정에서 학부모와 함께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 교육재정은 한정돼 있고 예산은 더 시급하고 필요한 곳에 우선 편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지금까지 시설투자 등 교육여건 개선에 우선 투입했는데 이제 그 분야는 상당한 진척이 보여 학생 복지 사업이나 사교육비 경감 사업에 더 많이 투자할 예정이다.
-- 학생·지역·학교 간 교육 불평등 개선 방안은
▲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현장지원을 공약했다. 지역별 안전센터 구축, 원스톱 학생 인권·교권보호 행복거점센터 구축, 메이커교육센터 설립 등 각 지역에 맞는 다양한 시설을 설치하겠다. 또 인접 학교 간 연계교육 활성화, 농산어촌 순회 방과 후 전문 강사제 도입 등 특정 지역에 편중되지 않고 경북 전역을 아우를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해 불평등 문제를 최소화하겠다.
-- 교사 업무 줄이겠다고 공약했는데.
▲ 교원 근무여건 개선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공문서 총량제를 도입해 임기 안에 50%를 줄이겠다. 이를 위해 위임, 전결 규정 준수와 결재단계 축소, 각종 평가와 감사 관련 요구자료 최소화, 불필요한 종이 서류 최소화, 각종 위원회 통합 등 공약을 실천할 방침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5/AKR20180625126200053_02_i.jpg)
-- 정당이 없고 득표율이 낮은 현 교육감 선거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는데.
▲ 지나치게 낮은 투표율로 인한 대표성 문제, 후보자가 누군지도 모른 채 투표하는 깜깜이 선거, 이념적 편 가르기에 의한 몰아주기 투표 등이 문제다. 하지만 교육자치를 위해 교육감 선출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해야 한다. 유권자인 국민이 각 후보 정책을 꼼꼼히 살펴보고 누가 아이들의 삶과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전문성과 책임감, 합리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췄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 자사고·특목고 문제 해법은
▲ 자사고와 외고, 국제고 등 특수목적고 설립 취지는 과학·외국어·해양·예술·체육 등 전문가를 조기 양성하는 것이다. 입시 위주 기관으로 변질하는 경향을 보여 비판받지만, 운영이 잘못되고 있다고 폐지에서 해법을 찾는 것은 무리라고 본다. 드러난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해 가며 본래 설립목적에 충실한 학교로 돌려놓는 것이 중요하다.
-- 경북과 대구를 제외하고 대부분 진보 성향 교육감이 당선됐는데.
▲ 실제 교육에서 진보니 보수니 하는 구분은 없다. 아이들 교육에 얼마나 효과적이고 아이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기준이 돼야 한다.
har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