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서 '말도로르의 노래'도 함께 출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5/AKR20180625132000005_01_i.jpg)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문학평론가이자 불문학자인 황현산(73) 고려대 불문학과 명예교수가 고된 암 투병 중에도 두 번째 산문집과 불문학 번역서를 한꺼번에 펴냈다.
지난해 12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했으나, 암이 재발하면서 건강 악화로 두 달여 만에 사직해 주변을 안타깝게 한 바 있다. 그는 병세가 나빠지는 와중에도 번역 작업 마무리에 매달리고 편집자와 의견을 나누는 등 책 출간에 열의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첫 산문집 '밤은 선생이다'에 이어 5년 만에 내는 이번 산문집은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난다)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2013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쓴 글들을 모았다.
그는 25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문학을 통해 사회를 분석하고 문학을 통해 미래를 전망하는 글들을 모았다"고 소개했다. 힘겨운 투병으로 기력이 쇠한 듯 말을 더 길게 이어가기는 어려워 보였다.
책 속에 적은 머리말에서 그는 "나는 이 세상에서 문학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를 오랫동안 물어왔다. 특히 먼 나라의 문학일 뿐인 프랑스 문학으로 그 일을 할 수 있는지 늘 고뇌해왔다. 내가 나름대로 어떤 슬기를 얻게 되었다면 이 질문과 고뇌의 덕택일 것이다. '밤이 선생이다', '우물에서 하늘 보기'(비평집) 이후에 썼던 글을 묶은 이 책은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그 고뇌의 어떤 증언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책 속에 담긴 글들은 우리 사회에서 눈에 띄는 현상들의 의미나 배경을 과거 정치·문화사에 비춰 짚어낸 뒤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는 내용이 많다. 특히 지난 정권하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가 훼손된 현실을 비판하는 글들이 눈에 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5/AKR20180625132000005_02_i.jpg)
"사람들은 가난하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이 사는 세계를 지옥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지옥은 진정한 토론이 없기에 희망을 품을 수 없는 곳이다. '아 대한민국'과 '헬조선' 사이에서 사라진 것은 토론과 그에 따른 희망이다. 지옥에 대한 자각만이 그 지옥에서 벗어나게 한다. '헬조선'은 적어도 이 지옥이 자각된 곳이다." (156쪽, ''아 대한민국'과 '헬조선'' 중)
'한글날에 쓴 사소한 부탁'이란 글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올려놓을 것과 '한컴오피스 한/글'의 맞춤법 검사 기능을 섬세하게 다듬어줄 것을 관계자들에게 부탁한다.
"언어는 사람만큼 섬세하고, 사람이 살아온 역사만큼 복잡하다. 언어를 다루는 일과 도구가 또한 그러해야 할 것이다. 한글날의 위세를 업고 이 사소한 부탁을 한다. 우리는 늘 사소한 것에서 실패한다." (97쪽)
책 후반부에는 영화 '곡성'과 '콘택트'에 관한 문화비평을 비롯해 시인 김혜순·김개미·천양희·신철규 등의 시집과 소설에 관한 평론이 담겼다.
이번에 함께 출간된 그의 번역서는 프랑스 시인 로트레아몽(1846∼1870)의 '말도로르의 노래'(문학동네)다.
그는 이 작품을 "가장 격렬한 낭만주의, 가장 격렬한 청소년기 반항의 기록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그가 3년 전 처음 암 판정을 받았을 때 번역하기 시작해 최근까지 매달린 번역 작업이다.
로트레아몽은 보들레르와 마찬가지로 악을 예찬한 시인이다. 1차대전이 끝나갈 무렵 아라공, 수포, 브르통 등 초현실주의자들로부터 '저주받은 천재의 광기와 독창성이 빚어낸 걸작'으로 재평가되면서 유명해졌다. 브르통은 로트레아몽을 가리켜 '무결점의 선배'로 추앙하며 그의 작품들에서 초현실주의 미학의 모체를 끌어냈다.
'말도로르의 노래'는 총 6편의 노래로 구성된 장편 산문시다. 창조주와 인간을 향한 말도로르의 잔혹한 복수와 반항이 무시무시하고 기괴한 상상으로 그려진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5/AKR20180625132000005_03_i.jpg)
mi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