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특이증상 없어 매년 내시경 바람직…"과도 음주·흡연 남성, 식도암 위험 50배"
(서울=연합뉴스) 박효진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김길원 기자 = #. 반복되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고생하던 김모(74)씨는 수년 전 '바렛식도'라는 다소 생소한 질환을 진단받은 후 매년 정기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왔다. 그런데 올해는 위내시경 검사에서 이전에 보이지 않던 병변이 보였다. 조직 검사 결과는 '식도 선암'이었다. 고령인 터라 암 수술이 큰 걱정이었지만, 다행히 조기암으로 최종 진단돼 내시경을 이용한 점막하 박리술(ESD)로 치료받고 퇴원할 수 있었다.
식도암은 김씨처럼 60대 이상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연령과 성별 외에는 흡연, 음주가 가장 뚜렷한 위험 요인이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식도 편평상피암과 식도 선암으로 나뉜다.
식도 편평상피암은 편평세포로 구성된 암으로 주로 음주, 흡연과 관련이 큰 편이다. 하루에 150g(소주 2병가량) 이상의 알코올을 과다 섭취하면서 8개비 이상의 흡연을 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식도 편평상피암 위험도가 약 5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식도 선암은 주로 바렛식도와 관련돼 발생한다. 바렛식도란 만성적인 위산역류 및 식도염으로 정상적인 식도점막이 원주 상피로 변화한 것을 말한다. 원주 상피는 상피 조직이 원기둥 모양이라는 의미다. 이 경우 정상인보다 식도암 발생 위험도가 최대 20∼30배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 등 서양은 1960년대만 해도 편평상피암과 선암의 비율이 6:4 정도로 편평상피암이 많았으나, 현재는 3:7 정도로 선암이 더 많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와는 조금 다르다. 약 20년 전인 1999년에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연세의대 내과학교실)가 수행한 연구 결과를 보면 편평상피암과 선암의 비율이 30:1 정도였는데, 이런 추세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2017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를 보면 2015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21만4천701건의 암 중 식도암은 2천420건으로 전체 암의 1.1%였고, 이 중 편평상피세포암이 89.6%, 선암이 2.9% 비율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식생활습관이 서구화하면서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 바렛식도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서양의 경우처럼 앞으로 선암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식도암은 초기에는 특이 증상이 없지만, 음식이 지나가는 통로이기 때문에 암이 진행되면 주로 음식을 삼키기 어렵고 통증이 나타난다.
식도는 쉽게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암이 발생하더라도 식도 협착에 의한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암이 진행된 후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식도협착이 나타나면 처음에는 고기나 깍두기 같은 딱딱한 음식부터 시작해 나중에는 죽이나 미음, 물도 삼키기 어렵게 된다. 또는 크기가 큰 음식을 먹을 때 걸리는 느낌이 들거나 앞가슴 또는 등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식사가 불편해지면서 식사량도 줄어 체중감소와 영양실조가 동반될 수 있다.
암이 식도의 내강을 거의 막아서 음식물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면 먹었던 음식물이 다시 입으로 올라올 수 있다. 이때 입으로 올라온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면 기침이나 흡인성 폐렴이 발생한다.
또 식도 주변에는 성대를 지배하는 '되돌이 후두신경'이 있는데 암이 이 신경을 침범하면 성대 마비가 생겨 목이 쉬거나 음식물의 흡인이 자주 일어난다. 식도 바로 뒤의 척추를 침범하면 등 쪽에 통증이 올 수 있고, 기관을 침범하면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식도암은 식도 내시경과 조직검사를 통해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암의 침범 범위 및 전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식도 조영술, 초음파 내시경, 흉부 및 복부컴퓨터단층촬영(CT),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등의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기도 한다.
암이 식도 점막에만 국한한 조기 식도암인 경우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시행할 수 있다. 이는 내시경을 이용해 수술 없이 암을 절제하는 치료법으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식도암이라면 일괄절제 및 완전절제율이 매우 높다. 식도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위장의 병변보다 상대적으로 난도가 높지만 숙련된 의료진이 시행할 경우 높은 일괄절제율과 비교적 낮은 합병증은 물론 주변 조직을 다 떼어내는 근치적 수술에 비교할 정도로 장기 생존율이 높다.
수술로 절제 가능한 식도암은 식도 절제술을 시행하는데, 최근에는 가능하면 흉강경을 이용해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최소 침습 수술'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식도 주위에는 심장, 기관지, 폐, 대동맥 등 중요한 장기들이 많고 식도 자체가 목, 가슴, 배에 걸쳐 있어 수술이 쉽지는 않다. 또 식도를 잘라내면 절제된 식도의 대체 장기로 위장, 소장 또는 대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술의 범위가 넓고 수술에 따르는 위험성도 큰 편이다.
수술로 절제 가능한 암이지만 수술 후 삶의 질이 나빠질 것이 예측되거나 함께 발병한 다른 질환이 있는 경우, 또는 수술로 절제 불가능한 암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다.
암 때문에 식도가 좁아져 음식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내시경을 이용해 '스텐트'를 삽입하고 좁아진 식도 내강을 넓혀 음식 섭취를 돕는다.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식도암도 조기발견이 생존율을 높이는 열쇠다. 위, 대장암만큼 빈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빨리 발견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식도 건강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식도암의 검진 방법으로는 식도 내시경이 최선이다. 내시경 검사를 꺼리지 말고 조금이라도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검사를 받아야 한다. 내시경 검사 시 색소를 뿌리거나 병변 부위를 자세히 볼 수 있는 협대역 영상을 이용하면 식도암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흡연이나 음주를 많이 하는 55세 이상은 최소 1년에 한 번 이상 내시경 검진을 권한다.
<YNAPHOTO path='AKR20180626148200017_03_i.jpg' id='AKR20180626148200017_0501' title='' caption='박효진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연합뉴스]'/>
◇ 박효진 교수는 연세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강남세브란스병원 암병원장으로 재직하면서 위암, 식도암, 대장암 등 소화기암과 삼킴 곤란 등 기능성 운동 장애 질환의 치료와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한국평활근학회장,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장을 역임했으며, 아시아 소화관운동학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