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7/AKR20180627145100111_01_i.jpg)
(테헤란=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한국 정부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 재개에 대비해 이란 정부와 제재 대상인 원유수출과 원화결제계좌 유지 문제를 논의했다.
윤강현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이 이끄는 한국 실무 대표단은 25∼27일 테헤란을 방문, 핵협상팀에 참여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부 차관, 이란중앙은행 부총재 등 고위 관계자를 잇달아 만나 관련 내용을 협의했다.
윤 조정관은 "이란 정부도 기본적으로 한국과 거래를 계속 원하는 입장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면서 "이란과 에너지 분야 거래에 대한 제재가 시작되는 11월까지 제재 유예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재무부로부터 대이란 제재의 유예국으로 지정돼야 이란산 원유를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수입할 수 있고 이에 연계된 원화결제계좌도 유지된다.
원화결제계좌는 주로 이란에 수출하는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금을 받는 유일한 합법적인 창구인 만큼 한국 정부는 미국의 제재에 따른 이들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한국 전체 원유 수입량 가운데 이란산은 약 13%다. 이란산 원유 수입 가운데 가스 콘덴세이트(초경질유)가 80% 정도를 차지하는 데 이는 한국의 가스 콘덴세이트 수입량의 절반이다.
현대오일뱅크, 현대케미칼, SK인천석유화학, SK에너지, 한화토탈 등 5개사가 이란산 원유를 수입한다.
가스 콘덴세이트는 석유화학 분야에 쓰여 이란산 원유 수입이 11월부터 중단되면 한국의 관련 업계에 타격이 우려된다.
미국의 국방수권법이 발효된 2012년에는 이란산 원유 수입국이 반기마다 수입량을 단계적으로 줄이면 제재 유예국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이번엔 미국이 11월까지 이란산 원유 수입을 '0'으로 줄이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재무부는 지난달 8일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탈퇴를 선언하면서 이란산 원유 수입과 관련, "11월 4일까지 6개월간 수입량 감축 실적을 보고 제재 유예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고 했지만 강경한 쪽으로 방향을 틀어 이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이와 관련, 윤 조정관은 "(2012년보다) 상황이 녹록지는 않지만 미국 정부와 협의해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hs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