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시장 임기초부터 취수원이전 등 시험대 올라…지방의회도 지형변화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9/AKR20180629074000053_04_i.jpg)
(대구=연합뉴스) 류성무 기자 = "시민 삶이 얼마나 팍팍하고 어려운지 잘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 4년은 시민 삶을 지키고 바꾸는 데 역점을 둘 것입니다."
재선에 성공한 권영진 대구시장은 민선 7기가 닻을 올린 1일 시정 방향을 이같이 압축해서 표현했다.
새 임기 4년을 거창한 구호로 시작하기보다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현안 해결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핵심 키워드는 일자리와 청년이다. 권 시장은 먼저 '일자리, 일거리가 있는 도시 대구 만들기'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일자리 부족이 청년 유출, 인구 감소로 이어진다는 판단에서다.
이런 맥락에서 민선 6기 4년 동안 추진한 미래형 자동차, 물, 의료, 로봇·사물인터넷, 청정에너지 등 5대 핵심 미래산업 육성은 대구 산업체질 대전환 차원에서 지속한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양질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9/AKR20180629074000053_05_i.jpg)
'청년이 꿈꾸는 도시 만들기'도 시정 목표의 한 축이다.
권 시장은 선거 과정에 일·주거·문화 등 삶 전반에 걸친 '대구형 청년보장제'를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다.
대구형 청년수당, 청년 희망적금, 청년·신혼부부 희망주택, 대학생 행복 기숙사, 청년소셜 벤처, 청년문화 특화거리 등이 주요 내용이다.
2022년까지 국비 1천450억원, 시비 1천150억원, 민자 4천750억원 등 7천350억원을 조달해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장 중심 행정도 강화한다.
권 시장은 "정치 철학적 논리에 치우친 시정 방향을 시민 삶의 현장 중심 시정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중학생 무상급식, 미세먼지 대책 마련 등과 같은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가 최우선 현장 행정 대상이다.
그렇다고 '장밋빛 미래'만 기다리는 것은 아니다.
취수원 낙동강 상류 이전, 대구공항 통합이전, 신청사 건립 등 3대 현안이 코 앞에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6/29/AKR20180629074000053_02_i.jpg)
특히 취수원 이전 문제는 최근 대구 수돗물에서 유해물질인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된 뒤 식수 불신이 가라앉지 않아 시급한 사안으로 부각됐다.
시는 맑은 물 확보를 위해 구미공단 상류 강변여과수 개발안과 취수원 구미 해평취수장 이전 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부산을 중심으로 '가덕도 신공항 논란'이 재점화되면서 대구공항 통합이전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권 시장은 새 임기 시작부터 시험대에 선 모양새다.
대구시는 3대 현안을 중심으로 현안대응 방향 설정 등을 위해 '대구 미래비전 2030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회에는 분야별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등 97명이 참여한다.
6·13 지방선거 결과 대구시의원 30명 가운데 5명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보수 정당 일색이던 과거와 달리 지방의회 권력지형이 변한 점도 권 시장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권 시장은 "지방의회 내부에 다양한 정치적 견해가 존재하게 됨에 따라 민의를 더 원활하게 시정에 반영하게 됐다"며 "대의 민주주의가 바람직하게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tjd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