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자원도 미래 먹거리…10년새 178개 신품종 등록

입력 2018-07-01 09:11   수정 2018-07-01 13:51

산림 자원도 미래 먹거리…10년새 178개 신품종 등록
<YNAPHOTO path='C0A8CAE2000001643ADC83F100000164_P2.jpg' id='PCM20180626000640064' title='댕댕이나무 신품종 '해아람'의 꽃과 열매' caption='[충북산림환경연구소 제공]'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림 신품종 해설집 발간

(충주=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10년간 국내에 새롭게 등장한 산림식물 신품종을 소개한 '2018 산림 신품종 해설집'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이 해설집에 따르면 2008년 8월 신품종 보호와 종자 산업 발전을 위해 이 센터가 출범한 이래 밤나무와 표고버섯, 구절초 등 전국적으로 386개 신품종이 출원됐다.
야생화가 109개 품종으로 가장 많았고 과수가 96개, 버섯류가 77개, 특용 식물이 47개, 조경식물이 43개, 산채류가 12개, 기타 2개 품종 순이었다.
신품종을 재배해 출원한 주체로는 개인이 151개, 국가기관 111.5개, 지자체 60개, 종자 업계 47.5개, 외국 16개였다.
출원했지만 재배 심사 등을 거쳐 최종 등록된 신품종은 178개다.
신품종 개발자(육성가)에게는 식물신품종 보호법에 따라 품종보호권이라는 독점적인 권리가 부여된다.
일반식물은 20년, 과수·임목은 25년 동안 개발자의 허락 없이는 신품종을 사용할 수 없다.
신품종을 개발해 성공적으로 산업화시킨 사례도 많다.
2016년 12월 황해쑥의 신품종인 '섬애'가 대표적이다.
2013년 9월 신품종으로 등록된 섬애는 일반 쑥에 비해 부드러운 향과 뛰어난 효능, 쉬운 재배로 인정을 받았다.
섬애는 그해 대한민국 우수품종 국무총리상까지 받았다.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관계자는 "신품종 육성 의욕을 고취하고 쉽게 이용할 기회를 주기 위해 신품종 해설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vodcas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