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앞으로 부산의 10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서는 불연성 쓰레기를 따로 버려야 한다.
부산시는 이달부터 불연성생활쓰레기 전용수거함을 설치한 100가구 이상 공동주택 1천387곳을 대상으로 불연성 쓰레기 분리배출을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4/11/PYH2018041116890001300_P2.jpg)
불연성생활쓰레기는 도자기, 깨진 유리, 조개류 껍데기, 뼈다귀, 고양이 배변 모래 등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를 말한다.
지금까지는 불연성 쓰레기 전용수거함이 없어 대부분 일반 생활 쓰레기와 함께 배출돼 소각 처리했다.
하지만 불에 타는 쓰레기(가연성)와 타지 않는 쓰레기(불연성)를 소각시설에 혼합 반입하면 잦은 고장을 일으켜 소각처리 효율이 떨어지고 수리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불연성 쓰레기는 소각하더라도 대부분 소각재와 함께 잔재물로 남아 매립시설로 옮겨 2차 처리하면서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올해부터 시행한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르면 폐기물처분부담금이 소각과 매립에 각각 적용됨에 따라 폐기물 처리비용의 추가적인 증가가 불가피하다.
부산시는 16개 구·군과 함께 지난해부터 불연성 쓰레기 분리배출 시범실시를 거쳐 10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 6억8천만 원을 들여 전용수거함 5천760개를 배치했다.
불연성 쓰레기는 배출은 전용수거함 안에 설치된 전용 마대에 배출하는 공동배출 형식과 기존 종량제 봉투(혹은 불연성 전용 마대)에 불연성 쓰레기만 담아 배출하는 개별배출 형식 가운데 선택하면 된다.
josep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