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무사개혁 TF는 '한계'…국방부검찰단, 민간검찰과 공조해야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국방부는 6일 국군기무사령부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각종 시위를 진압하기위한 위수령 발령과 계엄 선포를 검토한 문건을 작성한 데 대한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그 문건(기무사가 작성한 문건) 부분의 위법성에 대해서는 국방부의 기무사 개혁TF(테스크포스)에서 조사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최 대변인은 '해당 문건의 보고자는 당시 조현천 기무사령관이고,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보고를 받았다는데 조사가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에 "두 사람 모두 민간인이라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민간인 신분인 조 전 사령관과 한 전 장관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 방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이런 가운데 국방부의 이번 기무사 문건 조사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5월 25일 출범한 국방부 기무사 개혁TF는 민간인도 참여하고 있어 위원들에게 기무사를 조사하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이 TF는 압수수색 권한도 없어 조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을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국방부검찰단이 민간 검찰과 공조해 수사하는 특단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은 5일 기무사가 지난해 3월 작성해 한민구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 '전시 계엄 및 합수업무 수행방안'이라는 제목의 문건을 입수해 공개했다.
기무사는 이 문건에서 "북한의 도발 위협이 점증하는 상황 속에서 시위 악화로 인한 국정 혼란이 가중될 경우 국가안보에 위기가 초래될 수 있어 군 차원의 대비가 긴요하다"고 주장했다.
기무사는 지역에 동원할 수 있는 부대로는 8·20·26·30사단과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등 기계화 5개 사단, 1·3·9여단과 707대대 등 특전사 3개 여단을 거론해 파문이 확산하고 있다.
thre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