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부산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는 원도심으로 동부산권과 비교해 저소득층과 노인 인구가 많고 고위험 음주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고위험 음주는 개인의 만성질환 노출 위험뿐 아니라 중독이나 자살 등 사회적 문제로 연결된다.
실제로 고위험 음주자는 비음주자보다 자살 사망률이 1.9배, 중독 사망률이 2.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음주로 인한 질병 비용과 중독 및 자살 사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등은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8/08/01/C0A8CA3D0000015DBF342A4500106291_P2.jpeg)
부산시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고위험 음주율의 원인 규명과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연구용역을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의 정책용역 연구사업으로 동서대 보건행정학과 이효영 교수가 맡아 2020년 말까지 2년 6개월 동안 수행한다.
부산시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보면 부산의 고위험 음주율은 지난해 평균 18.4%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구는 20.9%, 서구 21.5%, 동구 25.5%, 영도구 20.0% 등으로 부산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에 수영구는 13.0%로 부산 평균보다 크게 낮았다.
부산시는 이번 연구에서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등 고위험 음주율이 높은 지역과 수영구 등 고위험 음주율이 낮은 지역 간 고위험 음주율 발생 요인을 파악하고 지역 격차가 생기는 원인을 규명한다.
이어 규명된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중재 모형을 개발해 시범 사업으로 적용하는 등 고위험 음주율을 낮추고 건강 격차를 해소하는 정책 발굴에 나선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서 지역 간 음주문화 차이를 파악하고 고위험 음주율을 낮추는 정책을 개발해 부산시민의 건강 수준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josep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