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숙박은 추세적으로 감소, 의료는 기조적 증가 전망
서비스소비, 작년 4분기 증가세 둔화 후 올 1분기 감소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서비스소비는 경기적 요인보다 경제구조, 정부 정책 등에 더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는 인구 고령화 때문에 서비스소비가 늘겠지만 음식·숙박업은 과당경쟁 때문에 추세적으로 소비가 감소하리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2일 '경제전망 보고서'에 실린 '서비스소비 변동요인 점검 및 평가'에서 "향후 경기적 요인이 일부 서비스업 소비에 영향을 주겠으나 서비스소비의 기조적 흐름은 경제구조, 사회·문화 변화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 방향 등에 더 좌우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비스소비가 경기적 요인보다 비경기적 요인에 의존하는 측면이 크다는 분석에 기반한다.
서비스소비는 지난해 4분기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한 데 이어 올해 1분기 전기 대비 0.2% 감소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반면 재화소비는 올해 1분기 1.7% 증가하며 작년 하반기 이후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한은은 재화소비와 서비스소비 증가율 차이가 경기 요인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에서 갈렸다고 봤다.
2015년 1분기∼올해 1분기 서비스소비에서 경기 요인 기여도는 0.18%포인트(분기 평균, 절대값 기준)로, 재화소비(0.61%포인트)를 크게 밑돌았다.
구조적 변화 때문에 소비가 감소하리라고 지목된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업과 교육업이었다.
자영업자 증대로 음식숙박업은 과당경쟁이 빚어지고 있다.
불황 때는 직장을 잃은 실업자들이 진입 장벽이 낮은 식당, 숙박업체 차리기에 나서기 때문에 오히려 경기 영향은 미약하다는 진단도 나왔다.
다른 연령대보다 음식숙박 서비스소비 비중이 낮은 60세 이상 고령 인구 증가도 음식숙박업을 기조적으로 제약하는 요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전체 소비 대비 음식서비스 소비 비중은 11.1%로 전 연령 평균 13.9%보다 낮다.
교육서비스도 학령인구 감소가 증가세를 제약할 것으로 진단됐다.
5∼19세 학령인구는 2010년 936만7천명에서 지난해 773만7천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실제로 전문대 이상 고등교육기관이 생산한 교육서비스 증가율은 2010년 5.2%에서 지난해 -1.7%로 쪼그라들었다.
의료서비스는 인구 고령화, 소득 증가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지목됐다.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는 여가에 대한 인식 전환,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소비가 늘어날 수 있는 부문으로 나타났다.
2015년 1분기∼2018년 2분기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 증가 요인의 고유요인 기여도는 1.63%포인트로 경기 요인(0.51%포인트)의 3배를 넘었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