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혁신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활동을 촉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희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면서 내외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혁신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개방형 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개방형 혁신은 자체 문제 해결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더욱 필요할 수 있으나 국내 중소기업은 내부 역량과 외부 네트워크 부족, 탐색과 보안에 따른 비용 부담, 지식재산권 등과 관련한 법적 분쟁 발생 시 대응 능력 부족 등 때문에 폐쇄형 혁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연구에서 김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 간 공정한 거래환경 조성, 거래비용 감축을 위한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 기업 간 상생협력의 여건 조성 등을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기업 간 공정한 거래환경을 조성하려면 기술 등 핵심 영업비밀에 대한 임치제도가 활성화하고, 효율적 분쟁해결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기술인력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원도급과 하도급을 일원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법률 체계를 갖춰야 한다.
또 온라인 지원 플랫폼을 선별적으로 통합하고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연스럽게 매칭될 수 있는 플랫폼 개발하는 등 거래비용 감축을 위한 인프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 간 상생협력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성과공유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표준 계약서를 제정 및 시행하고 참여 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김 연구위원은 "그동안 국내 중소기업들의 혁신활동에 걸림돌이 돼왔던 요인들이 개방형 혁신에도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며 "문제시됐던 국내 혁신생태계에 대한 올바른 성찰을 토대로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mj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