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 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으로 중국 크루즈선 입항이 1년 넘게 끊긴 가운데 부산항은 시장다변화로 피해를 줄이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08/PYH2017070800960005100_P2.jpg)
15일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44척의 크루즈선이 7만2천여명의 관광객을 태우고 부산을 찾았다.
지난해 상반기의 64척, 10만5천여명과 비교하면 20척, 2만8천여명이 줄었다.
사드보복 사태 전인 2016년 상반기의 74척, 19만2천여명과 비교하면 인원이 절반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4월부터 시작된 사드보복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 다른 크루즈 기항지보다는 사정이 많이 나은 편이다.
올해 상반기 부산을 찾은 크루즈선은 전국의 73%를 차지했다.
제주는 9척, 인천은 3척에 불과했다.
부산에 기항한 크루즈선의 비중은 2015년 18.6%에서 2016년 29.3%, 지난해 41.7%, 올해 73%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일본, 대만, 홍콩, 유럽, 싱가포르 등 다양한 국가의 크루즈선들을 유치해 중국 의존도가 다른 지역보다 낮은 때문이다.
부산을 모항이나 준모항으로 해 일본, 극동 러시아 주요 도시를 들르는 크루즈선을 19차례 운항하는 것도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부산항은 초대형 크루즈선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 신속한 출입국 심사, 선사 대리점들의 선용품 공급과 선원교대 등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 등 장점을 갖고 있어 각국의 크루즈선들이 꾸준히 찾는다"며 "앞으로도 동남아와 대만 등지의 관광객들이 항공기로 부산에 와서 크루즈선을 타는 상품을 계속 개발해 중국 의존도를 더 낮추고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yh950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