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30 수송기·HH-47 헬기·해군 구조함·고속정 등 투입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7/17/AKR20180717031200014_02_i.jpg)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공군은 17일 강원도 강릉 인근 해상에서 해군과 함께 해상 재난사고를 가정한 인명 구조 훈련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공군 C-130, CN-235 수송기, HH-47, HH-60 헬기와 항공구조사, 공정통제사, 해군 구조함(청해진함), 고속정, 심해잠수사 등 최정예 군 탐색구조 전력이 참가했다.
동해상에 가상 조난상황이 발생했다는 신고와 함께 탐색구조 비상대기 전력이 출동하면서 훈련은 시작됐다. 해군 구조함과 고속정이 먼저 현장에 도착해 사고 상황을 파악하고 구조작업을 위한 안전통제를 했다.
이어 공군 CN-235, C-130 수송기가 150여m 상공에서 인명구조를 위한 구명정과 구조도구(MA-1 Kit)를 투하했다. C-130 수송기는 380여m 상공에서 전술보트를 낙하산을 이용해 해상으로 내렸다.
수송기에서 고공강하로 사고 현장에 도착한 공정통제사는 전술보트를 타고 조난자를 신속히 구조했다. C-130 수송기는 사고 현장 인근 공역에서 구조작업 지휘통제 임무를 맡았다.
현장으로 진입한 HH-47 헬기는 조난자가 있는 해수면에서 1.5m 높이까지 근접 비행해 전술보트와 공군 항공구조사, 해군 심해잠수사를 내렸다. 바다로 뛰어든 항공구조사와 심해잠수사는 바다에 빠진 조난자를 전술보트에 옮겨 태워 안전하게 구조했다.
마지막으로 투입된 HH-60 헬기가 약 15m 상공에서 구조용 줄로 항공구조사를 해수면에 내려 조난자를 기내로 인양하면서 훈련은 마무리됐다.
이번 훈련을 담당한 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연습훈련과장 엄경호 중령(공사 41기)은 "공군에서 실시한 탐색구조 훈련 중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면서 "해상 선박사고로 대규모 조난자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종합적이고 실전적으로 실시했다"고 말했다.
thre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