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다수의 사망자와 수백 명의 실종자가 발생한 라오스 수력발전소 보조댐 사고는 메콩 강 유역에 많은 수력발전소를 짓고 인근 국가에 전기를 수출하는 라오스 정부의 이른바 '동남아 배터리' 계획에 내포된 위험 요인 중 일부가 현실화한 사례다.
태국과 베트남, 캄보디아 등과 국경을 맞댄 라오스는 동남아시아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메콩 강에 다수의 댐을 짓고, 이곳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출한다는 야심에 찬 계획을 실행해왔다.
특히 지난 1993년 서쪽 국경을 맞댄 태국에 1천500 메가와트(㎿)의 전력을 수출하기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라오스는 지금까지 모두 46개의 수력발전소를 지어 가동하고 있다.
산업이 낙후한 탓에 마땅한 수출 품목이 없는 라오스에 전력은 수출 효자 상품이다. 가동 중인 46개 수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3분의 2가량이 수출되는데 이는 라오스 전체 수출의 30%에 육박한다.
또 라오스는 오는 2020년까지 54개의 수력발전소를 추가로 짓는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이 마무리되면 라오스의 전력 생산량은 현재의 2배 규모인 2만8천 메가와트로 늘어난다.
하지만 메콩 강 유역에 집중된 라오스의 수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는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동남아의 젖줄'로 불리는 메콩 강 물줄기를 막을 경우 예상되는 하류 지역 농업과 내수면 어업 차질은 물론, 난개발에 따른 생태계 훼손이 가장 우려되는 대목이었다.
또 전문가들은 댐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류 및 하류 지역 홍수 등 안전 문제도 지속해서 제기해왔다.
지난 2012년에는 메콩 강에서 진행되던 사야부리 댐 건설 프로젝트가 환경 훼손 및 침전물 발생 등 우려 때문에 일시적으로 중단되기도 했다.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 보조댐 사고가 폭우에 따른 범람인지 아니면 붕괴인지 논란이 한창이지만, 그동안 제기돼온 다양한 우려의 일부가 현실화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국제 환경단체 인터내셔널 리버의 마우린 해리스는 영국 BBC 방송에 "이번 세피안-세남노이 보조댐 사고는 라오스의 댐 건설과 관리 계획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며 "다른 댐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재앙' 측면에서 즉각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