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집제거는 119로 신고해야"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19/PYH2017071921220005400_P2.jpg)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폭염으로 말벌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벌 쏘임 사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26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경남 사천의 한 야산에서 50대 남성이 벌에 쏘여 사망한 데 이어 이달 16일에는 경북 안동에서 60대 남성이 집에서 벌에 쏘여 숨졌다.
소방청 자체 통계로는 지난해 12명이 벌에 쏘여 사망했다. 사망자는 모두 50대 이상이었다.
지난 4년간 119 구급대가 벌 쏘임으로 이송한 사람도 연평균 7천700여명에 이른다.
말벌은 기온이 오르는 7월부터 벌집 내 일벌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8∼10월에 활동이 가장 왕성해 이 기간 벌집 제거 출동의 90% 이상이 집중된다. 벌집은 이미 초봄에 형성되지만, 규모가 작아 눈에 띄지 않다가 7월부터 벌집이 커지면서 사람들 눈에 많이 띄기 때문이다.
또 최근 도시개선작업에 따라 공원 같은 녹지공간 비율이 높아지면서 말벌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온도도 높아 벌집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도 도시 내 말벌이 증가하는 이유로 분석된다.
최민철 소방청 119생활안전과장은 "폭염 속 벌의 활동증가로 피해가 속출하는 만큼 벌집을 섣불리 제거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119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8/27/03/C0A8CA3D0000015E23FBC29000130308_P2.jpeg)
zitro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