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진병태 기자 = 미중간 무역전쟁이 격화하면서 중국 서민들의 식탁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고 영국 BBC방송이 2일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중국의 보복관세 부과로 가장 타격을 받은 미국 제품은 농산물이다. 지난달 중국의 반격을 받은 미 제품은 545종으로 이중 91%가 농업과 연관돼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중국이 미국의 농산품을 공격대상으로 한 것은 수량이 많기도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표밭을 타격하는 의미도 강하다. 하지만 그 댓가로 중국 소비자들은 똑같은 밥상을 차리더라도 이전보다 더 많은 지출을 해야하는 부담을 안게됐다.
대두의 경우 2016-2017년 수입량이 전체 소비량의 90%를 넘었다. 이중 미국산 수입분이 전체 수입의 36.6%인 3천417만t으로 전체 소비량에서는 31.6%를 차지했다.
하지만 25%의 고율 관세부과 이후 중국은 대두가격이 비교적 비싼 브라질 등에서 구입할 수밖에 없어 중국내 대두가격 상승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두 가격 상승은 중국인들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두부, 콩국, 간장, 발효두부는 물론 육류 가격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은하증권에 따르면 대두 가공후 부산물인 대두박(콩깻묵)은 풍부한 단백질 성분으로 양식장 사료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대두 가격 상승은 사료가격 상승에 이어 육류가격 상승을 불러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요동치게할 수 있다.
화창(華創)증권의 한 보고서는 대두가격이 10% 오르면 1개월후 식품가격은 전년동기비 1% 오르고 이는 CPI에 0.21%포인트 영향을 주게된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이런 이유로 중국의 서민들은 시장에서 무역전쟁의 영향을 피부로 실감하게 된다고 밝혔다.
9월 개학을 앞두고 지난 수개월간 지속된 위안화 절하도 미국에 자녀를 유학생으로 보낸 중국 학부모들의 마음을 어둡게 하고 있다.
올해 새로 부임한 리강(易鋼) 중국 인민은행장은 그동안 위안화를 절하해 무역전쟁을 치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수차례 밝혔지만 위안화 환율은 무역전쟁의 포연속에 절하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지난달 27일 위안화는 올들어 최고를 기록한 4월 2일에 비해 7.82% 절하됐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이 위안화 절하를 이용해 미국의 관세부과 효과를 상쇄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지만 중국이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위안화 절하는 중국으로서는 상품가격을 낮춰 수출을 진작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다. 하지만 위안화 절하는 자본이탈을 유도하고 자산에 거품이 끼게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강하다.
또 위안화 절하는 유학이나 여행 등 외국에서의 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대학 학비를 연간 3만에서 5만5천달러(약 6천200만원)로 본다면 중국의 학부모들은 지난 4월에 비해 1만7천위안에서 3만위안(약 494만원)을 더 지출해야한다.
일반 서민들이 위안화 절하를 피부로 느끼는 또다른 부문은 휘발유 등 석유제품 가격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중국 인민은행의 지속된 디레버리징(부채축소) 정책으로 지난해 이후 안정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최근 인민은행은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해 5천20억위안(약 83조원)을 시장에 공급키로 결정했다. 2014년 MLF가 도입된 이후 최대 규모의 이번 자금공급을 두고 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이 통화 중립에서 완화로 선회했다고 평가했다.
완화된 통화정책은 부동산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중국 공산당은 지난달 31일 정치국회의에서 부동산가격 상승을 지속적으로 억제해나갈 것이라고 밝혀 이런 기대감을 억눌렀다.
이 매체는 중국 정부가 시장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 부동산가격이 단기에 오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전했다.
중국 주식시장도 무역갈등에 전면적으로 노출되면서 하향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다만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 측 실무진들이 물밑협상을 진행하고 있어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매체는 장기적으로 무역전쟁이 어느쪽에도 유리하지 않아 양국이 자국 보호주의를 다시 검토하게 되겠지만 그 시기는 각자의 경제환경, 미국의 중간선거 결과에 달려있다고 지적했다.
jb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