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 광주시장·전남지사 21개월 만에 대면해 상생발전 방안 논의
광주 공항 이전, 한전 공대 설립 등 지역 현안 해법 나올지 주목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8/14/AKR20180814051200054_01_i.jpg)
(무안=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민선 7기 새로 취임한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마주 앉아 지역 상생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광주 민·군 공항 전남 이전, 한전 공대 설립 등 시·도에 걸쳐 있는 핵심 현안 해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14일 전남도에 따르면 양 시·도는 오는 20일 전남도청에서 상생발전위원회를 열어 상생 과제 추진 상황과 실천 방안 등을 공유한다.
애초 30일로 예정했으나 시급성을 고려한 광주시의 제안으로 개최일이 앞당겨졌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2014년 10월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를 구성해 30개 협력과제를 추진했다.
광주전남연구원 통합, 한국학 호남진흥원 설립, 제2 남도학숙 건립, 광주전남 갤러리 운영 등 11개 과제를 완료하는 성과를 남겼다.
에너지 밸리 조성, 혁신도시 활성화, 무안공항 활성화 등 19개 과제는 추진 중이다.
그러나 민선 6기 말에는 동력이 크게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이낙연 전 지사가 총리로 임명돼 전남도가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된 뒤에는 매년 두 차례 갖기로 한 위원회도 열리지 않았다.
이번 위원회는 2016년 11월 이후 1년 9개월만으로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는 취임 후 처음으로 논의 테이블에 앉게 됐다.
가장 우선해 풀어야 할 현안은 광주에 있는 군·민간 공항의 전남 이전, 한전 공대 설립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항 이전과 관련해서는 시·도 모두 군 공항 이전과 별개로 민간 공항을 전남 무안공항으로 옮기는데 이견이 없어 보인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8/14/AKR20180814051200054_02_i.jpg)
이번 위원회에서 구체적인 이전 시기 등 '속도'와 광주 민·군 공항의 전남 '패키지 이전' 논의가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한전 공대 설립의 경우 최근 개교 시기 지연, 규모 축소 등 우려가 나온 상황이라 시·도의 공동 대응 방안 논의가 이뤄질지가 관점이다.
특히 지역 간 유치 경쟁을 지양하고 한전의 부지 결정을 지켜보기로 하는 등 대승적 차원의 합의를 기대하는 시선도 있다.
다만 과거 지역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힌 사안은 아예 논의 대상에서 배제한 전례가 있어 이번 논의 결과도 '알맹이' 없는 상생 선언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남도 관계자는 "위원회에서 다뤄질 의제는 아직 확정 전"이라며 "당일 합의문 등을 통해 최종적인 논의 성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angwon7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