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쉿! 우리동네] 비행장 5곳 있던 제주도…"'가미카제'도 날았다"

입력 2018-08-18 11:00   수정 2018-10-04 16:34

[쉿! 우리동네] 비행장 5곳 있던 제주도…"'가미카제'도 날았다"
일제강점기 조성된 정뜨르비행장이 현 제주국제공항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환상의 섬', '평화의 섬'으로 불리는 제주도에 비행장이 5곳이나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실제로 제주지역 항공산업 종사자들도 잘 모르는 이야기다.



세월이 흐른 탓도 있겠으나 굳이 일제강점기 아픈 기억을 떠올려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탓도 있으리라. 아픈 역사에 대한 자체 기록작업이나 연구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도 있겠다.
일제강점기 제주에 건설된 비행장 중에는 속칭 알뜨르비행장과 정뜨르비행장, 진드르비행장이 대표적이다. 이들 비행장 외에 당시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부근에 건설된 육군 비밀 비행장과 현 서귀포시청 일대에 조성된 소규모 비행장이 있었다.

◇ 알뜨르비행장은 중국 폭격용
일본 학자 츠카사키 마사유키(塚崎昌之) 박사의 '제주도에서의 일본군 '본토 결전' 준비-제주도와 거대 군사 지하시설'(2004년)이란 논문과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조성윤 교수의 논문 '알뜨르비행장: 일본 해군의 제주도 항공기지 건설 과정'(2012년)은 제주의 비행장 건설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다.
제주의 첫 비행장은 알뜨르비행장이다. 일본 해군이 '제주도 항공기지'로 명명한 이 비행장은 1933년에 해군 항공기의 불시착륙장으로 처음 건설됐다. 불시착륙장의 면적은 19만8천799㎡다. 이때부터 중국과의 전쟁을 준비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중일전쟁이 전면전으로 발전한 1937년에는 이 비행장이 48만6천800㎡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중국 국민당 정부의 수도 난징(南京)을 폭격하는 기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당시 폭격기의 비행 거리로는 일본에서 이륙해 난징을 폭격하고 나서 되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했다. 난징에 가장 가까운 일본 내 기지는 나가사키(長崎)현 오무라 항공기지로, 이곳에서 뜬 폭격기들이 난징 폭격을 하고 나서 알뜨르비행장에 착륙하도록 했다. 알뜨르비행장에 착륙한 폭격기들은 다음날 곧바로 난징 폭격에 나섰다.
일본 해군성은 이 폭격을 '세계 항공전 사상 미증유의 대공습'이라고 자화자찬했다. 대규모 폭격기 편대가 바다를 건너 다른 나라를 공습한 첫 번째 '도양폭격'(渡洋爆擊) 사례라고 자랑했다.



이후 난징과 상하이(上海) 등지로의 도양폭격 거점은 제주도로 옮겨졌다. 폭격기들이 제주에서 이착륙하며 공습을 이어갔다. 제주로부터의 난징 공습은 36회 이루어졌다. 600기의 폭격기가 총 300t의 폭탄을 투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해 11월 일본군이 상하이 부근을 점령해 그곳에 비행장을 마련하자 해군 항공대의 본거지는 상하이가 됐다.
3차 확장공사는 1941년 태평양전쟁이 시작되기 직전부터 전쟁이 끝나는 1945년까지 계속됐다. 추가로 220만㎡의 토지를 확보해 오무라 항공기지와 같은 규모인 총 268만6천800㎡로 확장했다.
알뜨르비행장의 용도는 중국 폭격용에서 미국의 반격으로 패망하기 직전까지 본토를 사수하기 위한 마지막 결전장으로 바뀌었다.
작고한 향토사학자 박용후는 1990년 "태평양전쟁에서 미군 함대 공격에 1인승 폭격기 '가미카제호'(神風號)를 투입했다"고 서술했다. 가미카제는 항공기를 몰고 가 들이받는 자폭 특공대를 말한다.

◇ 일본 '본토 결전'용 비행장 건설
같은 시기에 일본 육군은 제주시 지역에 소위 '제주 비행장'을 건설하는데 매달렸다. 그때만 해도 일본군에는 공군이 따로 편성되지 않아서 육군과 해군이 각각 경쟁적으로 항공부대를 운영했다.
육군이 처음 건설한 비행장, 다시 말해 제주에 두 번째로 건설된 비행장은 정뜨르비행장이다. 활주로는 1천800m×300m와 1천500m×200m 등 2개였다. 1942년 1월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이 비행장은 현재 제주국제공항으로 발전했다.
1945년 초에는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에 세 번째 비행장인 속칭 진드르비행장 건설이 시작됐다. 제주 동비행장으로 명명된 이 비행장의 준공 시기는 파악되지 않지만 같은 해 4월 중순에 제2활주로 공사를 했다.
진드르비행장은 제주 동비행장으로, 정뜨르비행장은 제주 서비행장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됐다.



육군은 같은 해 7월에는 조천읍 교래리 부근에 네 번째 비행장을 건설했다. 이전과 달리 해안지역이 아니라 내륙에 만들어진 비밀 비행장이다. 계획상 활주로는 1천m×100m와 900m×50m 2개다. 그 외 비행병 수용동굴 200명분, 연료동굴 연료 400통, 탄약 5t, 비행기 격납 동굴 12기분 등도 계획했다.
'특공기' 즉 가미카제를 띄우기 위한 비행장으로 파악됐다. 이 비행장은 현재 대한항공 정석비행장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마지막 비행장은 4·3 사건 당시 서귀포시에 건설됐다. 현 서귀포시청 건물을 중심으로 동쪽으로 동홍천까지, 서쪽으로 선반내까지 잔디밭 비행장이었다. 오광협(85) 전 서귀포시장은 "4·3 당시 경찰이 서귀포 지역에 100사령부를 창설하고 비행장을 건설, 경비행기를 이용해 산악지대 시찰 등에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비행장에는 1956∼1957년 대만의 제트기 1대가 착륙하다 폭발하기도 했다고 한다. 4·3 사건이 마무리되고 1970년대 중반에 비행장 부지들이 민간에 분양됐다.
현재 제주국제공항과 정석비행장만 운영되고 있다. 아직도 많은 일제강점기 흔적을 간직한 알뜨르비행장은 국방부가 소유한 채 공군 탐색부대 등을 건설하려고 하고 있다. 진드르비행장과 서귀포 비행장은 역사 속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 하늘과 땅, 바다에서 '가미카제' 특공작전
일본군은 패전의 기색이 역력해지자 '본토 결전'에 착수했다. 1945년 3월 20일 '결호작전 준비요강'에 따라 북부 홋카이도의 '결1호 작전'부터 남부 규슈의 '결6호 작전'까지 세웠다. 그리고 유일하게 본토가 아닌 제주를 주무대로 상정한 '결7호 작전'이 수립됐다.
이어 7월 13일 육·해군 공통 '결호 항공작전에 관한 육·해군 중앙협정' 별책이 내려졌다. 항공작전에서는 "주로 특공전법으로 미군의 상륙선단을 격멸한다'고 정했다. 미군이 제주도 상륙작전을 개시하면 가미가제의 자폭 공격으로 섬멸하라는 명령이다.
다음 날은 '결호작전에 있어서의 대전차 전투 요강'이 내려졌다. 육상전투의 요점이 적의 근간 전력인 전차 격멸에 있음을 중시해 '일사필쇄의 특공에 의한 육박 공격'을 하라고 지시했다. 병종을 불문하고 직접 폭탄을 안고 달려가 자폭하며 적을 무찌르라는 것이다.

앞서 4월 8일 '본토 결전에 관한 육·해군 합동요령'과 동시에 시달된 '해군 특공기지 설정 개위'에 따르면 제주에 교룡(轎龍), 해룡(海龍), 회천(回天), 진양(震洋)과 주요 해상 특공병기가 모두 배치될 예정이었다. 교룡은 특수 잠항정이고, 해룡은 유익(有翼) 잠수정, 회천은 어뢰, 진양은 모터보트다. 이들은 모두 사람을 태우고 적함에 추돌해 자폭하는 '인간어뢰'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는 7월 27일까지 제주 일출봉과 삼매봉, 수월포 등 3곳에 진양 100척만 배치됐다.
제주 곳곳에는 총연장 약 15㎞로 추정되는 지하 참호와 갱도진지, 해상 특공용 진지 등 각종 군사시설이 건설됐다. 비행장을 비롯한 이들 군사시설 건설에는 수많은 도민이 동원돼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겪었다.
당시 인구 23만 명인 제주도에 7만 명이 넘는 군인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군은 전쟁 말기에 결7호 작전을 통해 사실상의 강제적 집단 자결로 일컬어지는 옥쇄를 감행하려 했다. 미군의 원자폭탄 투하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이 없었다면 제주에서 또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 상상할 수 없다.
kh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