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이상 취업자 월평균 12만2천명 증가 그쳐…금융위기 이후 가장 적어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올해 들어 한국경제의 허리 격인 30∼40대 취업자 수가 월평균 14만명씩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취업자 감소폭이 역대 최대 수준으로 확대되면서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증가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작은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일자리 쇼크가 장기화면서 실업자 수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오랜 기간 100만명을 상회하고,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와 구직단념자마저 기록적으로 늘어나는 등 후폭풍이 거세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들어 7월까지 30∼40대 취업자 수는 월평균 14만명 감소했다.
30대는 월평균 3만9천300명, 40대는 10만1천명씩 급격히 줄어들었다. 올해 40대 취업자 수 감소폭은 현재 방식으로 통계집계를 변경한 1999년 6월 이후 역대 최대다.
40대 취업자 감소는 2015년 11월부터 33개월 연속 이어졌다.
40대 취업자 1∼7월 월 평균을 보면 2015년 6천400명, 2016년에는 4만6천100명, 2017년에는 4만4천100명 감소하다가 올해 감소폭이 급격히 확대됐다.
40대는 고용률마저 전년 대비 하락하는 모양새다. 30대는 상승추세다.
올해 1∼7월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수는 월평균 12만2천3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이 절정이던 2009년 같은 기간에 월평균 14만1천700명 줄어든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정부가 고용 목표를 확 낮췄지만 그나마도 달성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신규 고용목표치 32만명을 18만명으로 대폭 하향조정했다. 이는 매달 취업자 수가 26만명 이상 늘어나야 가능한 수준이다.
한국경제의 일자리 창출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실업자 수가 7개월째 100만명을 넘었다. 대량실업 상황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오랜 기간 이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는 월평균 14만4천명을 기록해 2000년 이후 18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구직활동에 지쳐 취업을 포기한 구직단념자도 월평균 50만7천명에 달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도 급격히 늘고 있다. 1∼7월 비경제활동인구는 월평균 9만9천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면 노동시장의 활력이 떨어지고, 체감경기가 악화하는 한편, 경제성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한국경제의 주된 노동계층인 30~40대 취업자 급감은 조선업과 자동차산업 구조조정 여파가 가장 크다"면서 "이들은 포화상태에 이른 자영업으로도 진출이 어려워, 장기실업자가 되고 마침내 아예 구직을 포기해 버리게 되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 등 소득주도 성장 정책이 자영업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내수가 악화하고, 기업실적이 떨어지고, 고용마저 안 좋아지는 악순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