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하나대체투자자산과 공동투자…미 전력시장 진출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GS그룹의 발전 계열사인 GS EPS가 국내 민간 발전회사로는 처음으로 미국 전력시장에 진출한다.
GS EPS는 30일 미래에셋대우·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과 함께 미국 뉴저지주 린든시에 있는 972㎿ 용량의 린든 가스발전소(Linden Cogeneration Complex)의 보통주 10%를 인수하는 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미국 펀드인 아레스(Ares) EIF 매니지먼트와 오크트리(Oaktree)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8/30/AKR20180830033200003_01_i.jpg)
GS EPS는 이번 투자로 린든 가스발전소 이사회에 정식 멤버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미국의 전력산업·전력시장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축적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린든 가스발전소는 뉴저지주에 있지만 그 전력망은 뉴욕시로 연결돼 있어 대부분의 전력은 수요가 많은 뉴욕시(전력 수요의 약 13%)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경쟁 발전소보다 효율이 우수해 급전 순위에서도 상위권에 올라 있고, 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일부와 증기는 미국 동부 해안지역에서 가장 큰 정유사인 '필립스66'의 베이웨이 정유공장에도 독점 공급되고 있다.
GS EPS는 현재 충남 당진에 2천406㎿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발전소 4기, 105㎿ 바이오매스 발전소, 30㎿ 풍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GS EPS는 이번 투자를 교두보로 삼아 미국 내 가스복합, 신재생 사업까지 영역을 넓혀 에너지사업 포트폴리오를 더욱 다각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금융사 최초로 미국 발전소의 보통주에 투자하는 공동투자자인 미래에셋대우[006800]도 미국에 1.2GW 가스복합 선순위 대출 투자 경험을 살려 인프라 투자를 넓혀간다는 방침이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역시 미국 인프라 투자 위주로 투자 활동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GS그룹은 국내에서 GS EPS의 2천500㎿급 발전용량, GS동해전력의 600㎿급 발전소 2기 등 약 5천100㎿의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