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은행 정기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낮아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서민들의 대표적인 목돈 마련 상품인 적금의 매력이 점차 떨어지는 모양새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신규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가중평균 금리는 연 1.79%, 정기적금의 가중평균 금리는 1.82%였다.
적금 금리가 예금보다 불과 0.03%포인트밖에 높지 않은 것이다.
최근 둘 간의 격차가 줄어드는 모습이다.
지난해 11월 예금 금리가 1.74%로 적금 금리(1.67%)를 0.07%포인트 앞지르며 5년 10개월 만에 예·적금 금리 역전 현상이 빚어진 것이 시작이었다.
그해 12월에도 예금 금리(1.78%)가 적금(1.76%)보다 0.02%포인트 높았다.
올해 1∼5월에는 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높았지만 격차는 4월 0.08%포인트, 5월 0.02%포인트로 점차 줄었다.
급기야 6월에는 적금 금리가 1.81%, 예금 금리 1.83%로 재차 역전이 빚어졌다.
매달 꼬박꼬박 돈을 불입해야 하는 정기적금은 한꺼번에 목돈을 묶어두는 정기예금보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다.
월별로 보면 2012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예금 금리가 적금 금리보다 높은 적은 단 한 번뿐이다.
다만 시계열을 좀 더 확장해보면 1990년대 말만 해도 예금 금리가 10% 중후반, 적금 금리가 10%대 초반대로 역전 상태인 적이 있었다.
2005∼2008년에도 적금이 예금 금리보다 낮은 적이 많았다.
경기가 좋아져 투자가 늘어나고 대출 수요가 증가할 조짐을 보이면 은행들은 목돈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예금 금리를 높이면서 예·적금 역전 현상이 빚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예·적금 금리 역전 현상은 과거 역전 때와는 달리 정책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7월 2020년부터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산정방식을 변경, 가계대출에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은행들은 예대율을 100% 밑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규제가 바뀌며 가계대출 잔액이 그대로더라도 예대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예금을 늘릴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애초 개정안은 이르면 연내에 시행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 때문에 올 상반기에도 시중은행들은 최대 연 3∼4%대 고금리 예금 특판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규제 때문에 은행들이 장기예금을 전략적으로 유치하려고 한다"며 "이를 위해 장기예금에 우대금리를 적용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