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경제전망에 북한 관련 불확실성 반영해야"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북한과 관련한 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는 주가, 환율 등 금융시장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산업생산, 물가 등 실물 경제에도 최대 3개월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이서현 부연구위원, 소인환 과장과 세계은행(WB) 하종림 이코노미스트가 3일 발표한 BOK경제연구 '북한 관련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불확실성은 충격 발생 2∼3개월 후까지 물가와 산업생산을 하락 또는 감소시킨다"고 밝혔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 주가, 환율, 단기 외국인 투자자금, 시장금리 등에 즉각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 같은 금융변수 변화가 실물 경제로 파급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2003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한국 통일부와 미국 비정부기구인 군축협회(Arms Control Association)에서 발표한 북한 관련 사건·사고 가운데 구글에서 검색 빈도가 증가한 이벤트의 금융·실물 경제 파급 효과를 분석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북핵 관련 사건, 국지적인 군사 도발 등 지정학적 긴장을 증가시킨 40건과 남북 양자회담, 한국·북한·미국·중국·일본·러시아 간 다자회담 등 긴장을 완화한 47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10% 상승할 때 주가는 2.5% 하락하고 원화 가치는 2% 하락, 외국인 단기 투자자금은 8억달러 감소,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물가는 2∼3개월까지 0.2% 하락하고 산업생산은 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구체적인 이벤트별 불확실성 지수 상승 폭을 언급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분석 대상 이벤트 중 불확실성 지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10건의 평균 불확실성 상승 폭은 약 15%라고 설명했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완화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거시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연구팀은 "북한 관련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경제전망이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정학적 불확실성뿐 아니라 보호무역주의 확산,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 경제정책 불확실성도 금융·경제 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